항목 ID | GC40006282 |
---|---|
한자 | 海印寺 丹靑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석배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2년 - 「해인사 단청 이야기」 국학자료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Ⅱ에 수록 |
---|---|
관련 지명 | 남산동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 |
성격 | 설화 |
주요 등장 인물 | 동자 |
모티프 유형 | 신이담|금기담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서 해인사 단청과 관련하여 전하여 오는 이야기.
「해인사 단청 이야기」는 2002년 국학자료원에서 펴낸 『한국구비문학』Ⅱ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에 해인사(海印寺)가 오래되어 단청(丹靑)이 희미하게 되었으나, 너무 높아서 아무도 다시 색칠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었다. 어느 날 한 사람이 나타나 자신이 색칠을 하겠다고 말하면서, 단청을 칠할 때 절대로 들여다보아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방 안에 들어간 사람이 몇 날 며칠을 방에서 나오지도 않고, 먹지도 않고, 자지도 않은 듯하자, 호기심 많은 동자가 그 방을 몰래 엿보았다. 그런데 놀랍게도 사람이 아니라 새 한 마리가 단청에 칠을 하고 있었다. 단청 색칠이 거의 끝나 갈 무렵에 동자가 엿보고 있는 것을 알아차린 새가 후르르 날아가 버렸다. 그래서 해인사 단청에는 미처 완성하지 못한 흠이 남아 있다고 한다.
「해인사 단청 이야기」는 신이담과 금기담을 주요 모티프로 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