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6493 |
---|---|
한자 | 花春歌- |
이칭/별칭 | 「화류가」,「화수가」,「낙유가」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석배 |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동1가에서 수집된 작자 미상의 규방가사.
「화츈가라」는 권영철이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동1가에서 수집한 화전가(花煎歌)이다. 1979년 권영철이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규방가사(閨房歌辭)』 1권에 수록되어 있다. 화전가는 음력 3월 중순 무렵 진달래꽃이 만발할 때 부녀자들이 교외나 야산 등지에서 벌인 화전놀이를 소재로 한 규방가사인데, 「화류가(花柳歌)」, 「화수가(花樹歌)」, 「낙유가(樂遊歌)」 등으로도 불린다.
「화츈가라」는 “어와 세상 벗님네야 화전놀음 가자서라/ 역려 같은 이 천지에 부유 같은 우리 인생 아니 놀고 무엇하리 이때가 어느 땐고 춘삼월 망간이라 삼동에 마른 물이 우중에 맹동하고 청산에 나는 새 중천에 희롱하고/ 일 년이라 열두 달에 두 번 놀 수 업난지라/ 무심한 초목들과 빈빈한 금수조도 너를 맞아 즐기거던/ 하물며 인심이야 한 번 놀음 없을손가/ 가자서라 잔잔 위장 우리 춘복 색색으로 곱게 곱게 단장하고/ 남촌에 붕우 친구 손목을 서로 잡고/ 황홀하고 선연하다 요조한 제매들은/ 희희연연 월궁항아 분명하다/ 운과에 이인을 보지 못하신들 이에 더 좋을까/ 시녀 불러 앞세우고 만학천봉 깊은 곳에 차차로 다다르니/ 시내 가의 양유지난 바람 앞에 춤을 추고/ 벽장에 솔바람과 석간에 물소리는 간 곳마다 풍악이라/ 화간에 나비 춤과 자상에 벌노리는/ 춘흥을 못 이겨서 경개 따라 행보하니 처처에 풍경이라”에서 알 수 있듯이 3월 15일에 지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여러 벗님들과 함께 화전놀음을 가는 여성 화자의 들뜬 마음이 잘 드러나 있다.
여러 경치를 구경한 후 석양이 돌아가기를 재촉하니 “옛말에 하였으되 쾌락이 다 한 후에 비회가 온다더니/ 슬프다 이 말씀이 우리 두고 이름이라”라고 하며 “온갖 심사 싫어하여 화춘가를 지었도다/ 어엿브다 붕우들아 이 노래 들어 보소/ 화춘가 한 곡조에 철석간장 굽이굽이 다 녹는다/ 전생에 무슨 죄로 이 세상에 여자 몸이 되었는고/ 옛사람 지은 법이 남녀 분별 유달하여 남 가는 데 내 못 가고/ 심중한 규문 속에 주야로 매였으니/ 불쌍하다 우리 몸이 행보조차 중난하다/ 부럽도다 남자 평생 부럽도다/ 아녀자 지은 의복 철철이 떨쳐입고/ 맞잖다고 책망은 무슨 일고/ 천하강산 두루 다녀 친구 찾아 술 먹기며/ 춘풍삼월 가절마다 만화풍정 찾아서/ 영웅호걸 화류장에 임의로 왕래하여/ 여류한 이 세월에 하나같이 지내오니/ 역여 같은 이 세상에 무슨 한이 또 있는가/ 슬프다 벗님들아 우리 언제 죽으리까/ 남자 몸이 태어나서 저렇게 놀아볼까”라고 하며 여성으로 태어난 신세를 한탄하고 남자를 부러워하다 끝내 죽어 다시 남자로 태어나기를 바라고 있다.
이어 시집살이의 어려움을 다음과 같이 읊고 있다. “애닯하다 옛법이 무엇인고 분하도다/ 여자는 무슨 죄로 부모 슬하 성장하여/ 성인지경 되온 후에 남의 집에 보내는고/ 소향산천 하직하고 구고를 섬길 적에/ 동동촉촉 조심하여 동지섣달 오경야에 계명 소리 들리오면/ 황황급급 일어나서 혼정신성 새로 하고/ 부모한테 말 못 하고 경구지을 골몰리며/ 천리 만리 간다 해도 시집 풍속 일반이라/ 초로지기 없는 살림 없는 대로 고생이요/ 천석 만석 있는 시집 있는 대로 고생이라”
마지막으로 “슬프다 붕우들아 무정세월 약류파는 장부 사시 불쌍하고/ 동원도리 편시춘은 여자 일신 가련하다/ 뒷동산 두견화는 청춘 삼월 지난 후에 꽃 진다고 설워 마라/ 명년 봄이 돌아오면 너는 다시 피건마는/ 슬프다 우리 인생 화초만도 못 하도다/ 일조일석 죽어지면 회생할 길 바이 없다”라고 인생의 무상함을 읊고 있다.
「화전가」는 만화방창(萬化方暢)하는 춘삼월을 맞아 화전놀이를 준비하는 과정을 시작으로 하여, 화전놀이의 즐거움, 귀가하는 과정, 귀가 후의 감회를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화츈가라」는 변형된 「화전가」다. 내용상 보통 「화전가」와 비슷하나 신변탄식조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또 율격은 4·4조의 4음보가 지배적이지만 4·4·4조의 6음보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