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0598 |
---|---|
한자 | 崔認[東區] |
영어공식명칭 | Choe In |
이칭/별칭 | 달부(達夫),사인(士仁),한천(寒川)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장인진 |
임진왜란 당시 공산의진군 의병장이자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 삼충사에 제향된 문인.
최인(崔認)의 본관은 경주(慶州)로, 자는 달부(達夫), 또 다른 자는 사인(士仁), 호는 한천(寒川)이다. 최인은 조선 개국원종공신으로 병조판서에 오른 뒤 광정(匡靖)이라는 시호(諡號)를 받은 최단(崔鄲)의 7대손이다. 증조할아버지 최자하(崔自河)는 선공감감역(監役)을 지냈고, 할아버지 최해(崔海)는 발포만호(鉢浦萬戶)를 지냈으며, 아버지 최종옥(崔宗沃)은 감찰(監察)을 지냈다. 어머니는 선략장군(宣略將軍) 하희수(河希壽)의 딸인 진주하씨(晋州河氏)이다. 부인은 참봉 한형(韓衡)의 딸인 청주한씨(淸州韓氏)인데 슬하에 두 아들 최동립(崔東岦), 최동은(崔東嶾)을 두었다. 최동립은 호군(護軍)을 지냈다.
최인은 타고난 성품이 강개하고 대절이 있었다. 임진왜란 때 대구광역시 팔공산에서 공산의진군이 창의(倡義)할 때 참여했다. 최인은 손처약, 최동보와 함께 경주[지금 경상북도 경주시]의 문천회맹에 참가해 경주성 탈환에 공을 세웠다. 동생 최계(崔誡), 조카 최동보(崔東輔)도 의병을 일으켜서 3인이 대구[지금 대구광역시], 경산[지금 경상북도 경산시], 영천[지금 경상북도 영천시] 등지에서 의병 활동해, 사람들이 최씨 문중에서 나온 세 명의 충신이라는 이름인 삼충(三忠)이라 부르며 칭송하였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에는 거주하던 대곡(大谷)에 정사(精舍)를 지어 소요 자적하며 性情(성정)을 길렀다.
최인은 장현광(張顯光), 김우옹(金宇顒), 권춘란(權春蘭), 이덕홍(李德弘), 조호익(曺好益), 최동보(崔東輔) 등과 경학(經學)을 강론하며 도의로 사귀었다.
최인의 묘소는 대구광역시 해서촌(解西村) 대곡(大谷)에 있는데, 이휘재(李彙載)가 지은 묘갈명(墓碣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