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진주낭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21269
한자 晉州郎君
영어공식명칭 Jinjunanggun (Patrilocality Song)
이칭/별칭 진주남강,진주난봉가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서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3년 8월 13일 - 「진주낭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채록
채록지 「진주낭군」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지도보기
가창권역 「진주낭군」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성격 서사민요
토리 경토리
출현음 솔라도레미솔라
기능 구분 서사민요
형식 구분 독창
박자 구조 3소박 4박자
가창자/시연자 김위달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전해오는 서사민요.

[개설]

「진주낭군」은 남편의 외도를 목격한 아내가 목을 메어 숨지자 남편이 뒤늦게 후회한다는 내용을 공통적으로 가지는 서사민요이다. 경상도와 전라도에서 주로 채록되며 대표적인 비극 서사민요이다.

[채록/수집 상황]

「진주낭군」은 1985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7-13 대구직할시 편 856-858쪽에 사설이 수록되어 있으며, 채록시기는 1983년 8월 13일이다.

[구성 및 형식]

「진주낭군」은 독창 형식이다.

[내용]

「진주낭군」은 전형적인 진주낭군 사설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마지막에 ‘얼씨구나 절씨구나 지화자좋네 아니노지를 몬하리라’는 경토리의 곡조로 부르다보니 덧붙인 것으로 보인다.

울도담도 없는집에 시집삼년을 살고나니/시어머님 하신말씀 아가아가 미늘아가/

진주야낭군을 볼라거던 진주남강에 빨래가라/그말씀도 옳게여기 진주남강을 빨래가니/

산천도 조흘씨고 물도좋고도 돌도좋네/껌은서답은 껌게씻고 흰서답은 희기씻거/

뚜당탕뚜당탕 뚜다리더니 난데없는 발자취소리/얖눈을살큼 살펴보니 화늘겉은 서방님이/

구름겉은 말클타고 본치만치도 가는구나/집이라꼬 돌아오니 시어머님이 하신말씀/

아가아가 미늘아가 진주낭군이 이제왔네/사랑방을 니려다보니 일등기생을 옆이두고/

오색가지 수를놓고 본치만치도 하는구나/잊었도다 잊었도다 진주낭군님 잊었도다/

자기방으로 들어와서 석자수건을 목을매고/열두가지 약을피와 죽은듯이도 죽었구나/

진주낭군이 소문을듣고 버선발로 뛰어와서/가는목은 덥석안고 여보마누라 웬일이오/

첩의정은 삼년이요 당신의정으는 백년인데/고만절개를 몬굽혀서 영걸종천을 떠나가나/

이세상에 못한한을 후세상에나 다시보자 /얼씨구나 절씨구나 지화자좋네/

아니노지를 몬하리라

[현황]

현재도 「진주낭군」은 민요 채록시 빠지지 않고 수집되는 민요이다. 이는 사설의 구조와 내용이 여인네들 기억에 오래도록 남을만한 것이기에 가능하다.

[의의와 평가]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전해지는 「진주낭군」은 옛 여인네들이 겪었던 시집살이의 고된 삶과 남편의 외도 등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등 비극적 서사민요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