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1280 |
---|---|
영어공식명칭 | BongcheongGeum Song (Folk Song) |
이칭/별칭 | 죽어 어뚝(빨리) 못오는 노래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서은 |
채록 시기/일시 | 1983년 8월 12일 - 「봉청금노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채록 |
---|---|
채록지 | 「봉청금노래」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
가창권역 | 「봉청금노래」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성격 | 민요 |
토리 | 경토리 |
출현음 | 솔라도레미솔라도 |
형식 구분 | 독창 |
박자 구조 | 3소박 4박 |
가창자/시연자 | 김몽기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죽어서 못오는 봉청금의 어머니에 대해 노래하는 민요.
「봉청금노래」를 부른 가창자가 직접 「죽어 어뚝(빨리) 못오는 노래」라고 명명했다.
「봉청금노래」는 1985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7-13 대구직할시 편 840쪽에 사설이 수록되어 있으며, 채록시기는 1983년 8월 12일이다.
「봉청금노래」는 혼자서 부르는 독창 형식이다.
「봉청금노래」 사설의 내용은 돌아오기 어려운 극단적인 형편에 처한 봉청금의 어머니에 대해 노래한다. 봉청금의 어머니가 못오시는 슬픈 내용이지만 곡조는 노랫가락의 곡조를 차용했고 끝에는 ‘아니놀지를 못하겠네’로 마무리한다.
금아금아 봉청금아/너거엄마는 어데를갔노
일천강변을 가고/백천수를 건너가여
은쟁반에 죽순쑤마/그죽순이 왕대가되어
왕대끝에서 학이앉아/학의머리에 꽃이피믄
그꽃따서 오실라더니/지금까지도 못오시니
아니놀지를 몬하겠네
대구광역시 동구에서 채록된 「봉청금노래」는 사설의 표현이 매우 생소하고 아름다워 가치가 있다. 「봉청금노래」는 대구광역시에서도 드물게 채록되는 노래로, 대구광역시 지역 민요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노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