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0447
한자 光復
이칭/별칭 해방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일수

[정의]

1945년 8월 15일 달성군을 포함하여 우리 민족이 일제에 빼앗긴 주권을 회복한 역사적 사건.

[역사적 배경]

1945년 8월 15일을 해방이라고도 한다. 광복은 내외적 발전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먼저, 내적으로는 한말(韓末), 일제 강점기 국내외에서 다양한 이념과 방략(方略)에 따라 전개된 민족 독립운동의 지속적 전개에서 찾을 수 있다. 독립운동의 전환점을 만든 것은 전 민족적 항일 운동으로 평가되는 3·1 운동이었다. 3·1 운동은 상해 임시 정부를 수립케 한 배경이 되었고, 1920년대 민족 운동을 새로운 이념과 방략에 따라 국내외에서 전개되는 전환점이 되었다. 독립운동은 일제 강점기 말기 해외에서 독립 전쟁론에 입각한 대일 항전으로까지 발전하였고, 국내에서는 조선 건국 동맹이 조직되어 일제의 패망을 대비한 건국 준비 활동이 전개되었다. 다음으로 외적으로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이 일제를 항복시켜 우리나라를 독립케 하였다.

[달성과 광복]

광복 이후 대구 달성 지역에서는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달성군 위원회를 시작으로 건국 활동을 전개하였고, 대구 달성 연합 농민 조합 협의회, 달성군 인민 위원회 등이 결성되었다. 그 뒤 모스크바 삼상 회의를 둘러싼 신탁 문제가 불거졌다. 1946년 8월 남조선 과도 입법 의원의 설치에 따른 지역의 선거가 진행되었다. 1946년 10월 사건의 경우 대구에 인접한 달성군이 가장 강력했다. 달성군 각 면의 경찰 기관이나 면사무소 등 주요 시설이 민중들에게 점거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1947년 2차 미소 공동 위원회가 속개되었으나 결렬되자 한반도 문제가 유엔(UN)으로 이관되었다. 1948년 5월 10일 제헌 국회 의원 선거가 치러져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결과]

광복은 우리 민족이 일제의 식민 지배로부터 벗어나 독립을 되찾은 계기이자 자주적 통일 민족 국가 수립의 과제를 안게 된 역사적 사건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