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무당 웅덩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1622
한자 巫堂 -
영어공식명칭 shaman pool
이칭/별칭 「무당 우물」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다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4년 - 「무당 웅덩이」『대구의 뿌리 달성』에 수록
관련 지명 무당 웅덩이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 뒷산
성격 전설|지명 전설
주요 등장 인물 무당|남자 무당
모티프 유형 무당의 정조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에서 무당 웅덩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무당 웅덩이」는 무당이 남자 무당으로부터 정조를 지키려다가 빠져 죽은 웅덩이라고 하여 무당 웅덩이로 불린다는 지명 전설이다. 이를 「무당 우물」이라고도 한다. 이 무당 웅덩이에 기도를 하면 아들을 낳을 뿐만 아니라 난치병을 고치고 소원도 이루어진다고 한다.

[채록/수집 상황]

2014년 달성 문화 재단과 달성 군지 간행 위원회에서 간행한 『대구의 뿌리 달성』의 가창면 설화 항목에 「무당 웅덩이」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다.

[내용]

달성군 가창면에서 서남쪽으로 16㎞ 정도 떨어진 뒷산 계곡에 맑은 물이 고인 넓적한 웅덩이가 있다. 그 웅덩이의 이름이 바로 '무당 웅덩이'이다. 옛날 아들을 낳지 못하는 부인이 이곳 웅덩이에서 밤낮으로 7일간 정성껏 기도를 드리면 아들을 낳는다는 소문이 있었다. 이 소문이 널리 알려져 인근뿐만 아니라 먼 곳에서도 소문을 듣고 찾아와 아들 낳기를 기원하는 사람들로 붐볐다고 한다. 그런데 어느 명문대가에 증손이자 3대 독자인 사람의 며느리가 딸만 일곱을 낳고 아들을 낳지 못하였다. 그 며느리는 대를 잇지 못하였다고 해 시가에서 쫓겨나게 되었다. 그때 마침 명문가에서도 아들을 낳게 해 준다는 웅덩이에 대한 소문을 듣게 된다. 명문가는 부랴부랴 택일하여 유명한 남녀 무당을 불러 굿을 해 아들을 낳게 해 달라고 기도를 올리게 된다.

7일 기도에 5일째 되는 날 밤에 4일 동안 오로지 아들을 낳기 위한 기도에만 몰두한 나머지 눈 한 번 붙이지 못하던 며느리가 엎드려 기도하는 동안 깜빡 잠이 들게 된다. 남자 무당은 굿을 하는 동안 여자 무당을 사랑하게 되어 버렸다. 하지만 단둘이 이야기할 기회가 없어 기회를 노리고 있던 참이었다. 그러던 중 며느리가 잠에 들자 남자 무당은 너무나 좋아서 마음을 말로 할 겨를도 없이 여자 무당의 손목을 덥석 잡게 된다. 여태까지 상냥하고 호의를 베풀던 여자 무당은 남자 무당의 섣부른 행동에 안색을 붉히며 손목을 뿌리치고 거절하게 된다. 그럴수록 남자 무당은 여자 무당이 아름답게만 보였다.

절호의 기회를 놓칠 수 없다고 생각한 남자 무당은 여자 무당을 겁탈하려고 달려들었다. 여자 무당은 힘으로 도저히 남자 무당을 감당할 수 없다고 생각해 죽을 힘을 다해 남자 무당을 밀치고 물에 뛰어들어 버렸다. 여자 무당은 죽음으로써 자신의 정조를 지킨 것이다. 이런 일이 있은 후부터는 이 웅덩이에 기도를 하면 아들을 낳을 뿐만 아니라 난치병도 고치고 소원도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래서 무당 웅덩이라고 불리우며, 지금도 명절이나 특별한 날에는 기도를 드리는 사람이 왕래한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무당 웅덩이」의 주요 모티프는 '무당의 정조'이다. 정절담에는 여성이라면 마땅히 지켜야 할 정조가 있고, 그것을 지킨 자에게는 적절한 보상이 있다는 윤리적 교훈을 제시한다. 전승 집단은 「무당 웅덩이」를 통해 하층 천민인 무당도 정절을 지킨다는 점을 강조하여 사대부 및 평민의 여인에게 정조의 신념을 강하게 심어 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