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1712 |
---|---|
영어공식명칭 | kwaejina's song|kwaejina ching ching |
이칭/별칭 | 「칭칭이 소리」,「치기나 칭칭나네」,「쾌지나칭칭소리」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권현주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에서 여러 사람이 함께 모여 흥을 돋울 때 부르는 유희요.
「쾌지나칭칭나네」는 많은 사람들이 놀이를 할 때 흥을 돋우기 위하여 부르는 경상도의 대표적인 가창 유희요이다. 이를 「칭칭이 소리」, 「치기나 칭칭나네」, 「쾌지나칭칭소리」라고도 한다. 노래의 모든 구절 뒤에 '쾌지나칭칭나네'를 넣어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2014년 간행한 『대구의 뿌리 달성』에 실려 있다. 이는 1983년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에서 정우덕[남, 당시 73세]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쾌지나칭칭나네」는 교환창으로 불리는데, 선창자가 두 마디의 사설을 엮어서 부르면 후창자들이 '쾌지나칭칭나네'의 후렴구를 따라 한다.
내용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만고의 영웅의 업적을 서술한 부분이다. 둘째는 백년해로하기로 약속한 낭군이 세상을 떠나 버리자 그를 그리워하는 부분으로 「쾌지나칭칭나네」의 핵심이다. 셋째는 숫자 '일'부터 '십'에 이르기까지 언어 유희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① 녹음방초 성하시에 쾌지나칭칭나네/ [중략] 선인들은 슬퍼하야 쾌지나칭칭나네/ 한시 익혀 지었도나 쾌지나칭칭나네/ [중략] 만고영웅 호걸들아 쾌지나칭칭나네/ 초한성부를 들어보소 쾌지나칭칭나네
② 가련하다 이내 팔자 쾌지나칭칭나네/ 어이없이 되었구나 쾌지나칭칭나네/ 고행하신 우리 낭군 쾌지나칭칭나네/ 구원하기 짝이 없네 쾌지나칭칭나네/ 너와 나와 만날 적에 쾌지나칭칭나네/ 천상연분을 맺었는데 쾌지나칭칭나네/ [중략] 독수공방 빈 방안에 쾌지나칭칭나네/ [중략] 아주 가신 낭군님이 쾌지나칭칭나네/ [중략] 공허한 이 내 마음 쾌지나칭칭나네/ 구할 길도 전혀 없네 쾌지나칭칭나네
③ 일자 낱을 딱 부치니 쾌지나칭칭나네/ 일자를 아뢰로다 쾌지나칭칭나네/ [중략] 칠월 홍패 흐르난고 쾌지나칭칭나네/ 풍덩 떨어져 내가 죽어도 쾌지나칭칭나네/ 칠월칠석을 못 마리소 쾌지나칭칭나네/ [중략] 십자 낱을 딱 부치니 쾌지나칭칭나네/ 십자를 아뢰리라 쾌지나칭칭나네
「쾌지나칭칭나네」는 전국에서 많이 불린 까닭에 가사의 내용도 천차만별이며, 공동 작업을 하는 일터에서도 많이 부르기 때문에 노동요로 활용하기도 한다. 또한 「쾌지나칭칭나네」는 다양한 내용을 담아내고 있어, 이를 통해서도 달성 지역민의 정서와 의식을 읽어 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