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0309 |
---|---|
한자 | 義烈團 爆彈 搬入事件[東區] |
영어공식명칭 | Eiyeoldan Affair bring Bomb |
이칭/별칭 | 황옥사건,제2차 암살파괴계획,황역 경부 폭탄 사건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일수 |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 망우공원 내 기념비가 있는 이경희가 1923년 일제의 주요인물과 식민지 지배기구를 폭파하기 위해 벌인 사건.
의열단이 러시아 공산당으로부터 자금을 공급받아 일제의 주요 인물의 암살과 건물 파괴를 단행하는 방법으로 조선의 독립을 꾀하는 과정에서 일명 ‘황옥 사건’이 발생하였다. 제2차 암살파괴계획이라고도 한다. 황옥사건에 관련된 이경희[1880~1949]는 무태[지금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 출신이다. 본관은 인천이다. 1909년 기호학교에 재학 중 신민회의 청년단체로 만들어진 청년학우회 한성연회, 교남교육회, 대동청년회에서도 활동하였다. 1910년대 재건달성친목회, 1915년 대구권총사건 등에 참여하거나 연루되었다. 1919년 3.1운동 이후인 1921년 조선노동공제회 소비조합 운동을 전개했으며, 1922년 단연동맹회를 결성하였다.
1922년 하반기 의열단은 조선총독부, 동양척식주식회사, 조선은행, 경성우편국, 경성전기회사, 주요 간선철도 등의 기관 및 시설물, 총독·정무총감·경무국장 등 총독부 주요 요인에 대한 암살 폭파 거사를 추진하였다.
의열단 소속이었던 이경희는 1923년 3월 15일 경성[현 서울특별시] 황옥(黃鈺) 집에서 황옥으로부터 「조선혁명선언서」 1책, 「조선총독부 소속 각 관공리에게」라는 문서 100장을 전달받았다. 이경희는 「조선총독부 소속 각 관공리에게」를 각 도지사와 경찰부에 우송하고, 남은 「조선총독부 소속 각 관공리에게」는 사람의 왕래가 잦은 거리에 뿌려 달려는 황옥의 요청을 흔쾌히 승낙하였다. 「조선총독부 소속 각 관공리에게」는 유석현이 비밀리에 국내로 들여온 방화용 폭탄 5개, 파괴용 폭탄발회뇌관 6개, 시계 6개, 권총 5정과 실탄 155발 등과 함께 가지고 들어온 문건이었다, 또 달성[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으로 중국 북경에 유학중이던 이현준(李賢俊)은 이오길(李吾吉)·김시현(金始顯)·김태규(金泰圭) 등과 함께 1923년 3월 12일 경성[현 서울특별시]으로 출발했다. 이현준·이오길·유석현(劉錫鉉) 등 3명은 경성의 조황(趙晃) 집에 잠복하여 김시현이 오기를 기다렸다. 김시현이 기차 안에서 경찰관에게 검문을 당했기 때문이었다. 김시현은 다음 날인 1923년 3월 13일에 경성에 도착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행에 옮기지 못한 채 이현준 등은 일경에 체포되는 탄압을 받았다.
의열단의 활동은 경기도경찰부, 평안북도경찰부, 신의주경찰서 등 3곳 경찰 기관의 수사에서 그 규모가 밝혀졌다. 먼저, 1923년 3월 14일 평북경찰서 및 신의주경찰서는 안동경찰서와 협력하여 조선일보 안동지국장 홍종우 외 5명의 관계자를 검거했다. 동시에 파괴용·방화용·암살용 3종류의 폭탄 18개, 「조선혁명선언서」 및 「조선총독부 소속 각 관공리에게」라는 제목의 의열단 문서 6백 부를 압수하였다. 경기도경찰부는 1923년 3월 15일부터 관련자 12명을 검거하고, 경성 시내에서 각종 폭탄 18개, 폭탄장치용 시계 6개, 뇌관 6개, 권총 5정, 「조선혁명선언서」 및 「조선총독부 소속 각 관공리에게」라는 제목의 의열단 문서를 압수하였다. 그 후 경찰기관은 3월 말 무렵 조사를 마치고 관련자들을 검찰에 송치하였다. 이경희는 1923년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을 언도받고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다. 1924년 5월 26일 만기 출옥하였다.
의열단폭탄 반입 사건은 독립전쟁론 노선으로 한국 독립을 꾀한 독립운동으로서 일제강점기 민족운동의 고양에 기여하였다. 이경희의 독립운동 공적을 기리는 ‘애국지사 지오 이경희공적비(愛國志士池吾李慶熙功績碑)’가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에 있는 망우공원에 건립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