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1263 |
---|---|
영어공식명칭 | Oisaa Sori (Weeding a Rice Paddy) (Farmers’ Song) |
이칭/별칭 | 「아시논매기소리」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서은 |
채록지 | 「오이사아소리(논매기소리)」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
![]() |
---|---|
가창권역 | 「오이사아소리(논매기소리)」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 |
성격 | 노동요 |
토리 | 메나리토리 |
출현음 | 미·솔·라·도·레 |
기능 구분 | 노동요 |
형식 구분 | 선후창 형식 |
가창자/시연자 | 송문창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에서 논매기를 할 때 첫번째 부르는 소리.
「오이사아소리(논매기소리)」는 전국적으로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애벌논매기, 두벌논매기, 세벌논매기 등 순서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그 중에서도 첫번째 논매기는 소리를 길게 하여 불규칙박으로 부르며 논매기 중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오이사아소리(논매기소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내 한국민요대관에 음원이 수록되어 있다. 채록일은 정확하지 않으나 채록자는 권오경과 김기현으로 기재되어 있다.
「오이사아소리(논매기소리)」는 선소리꾼이 소리를 내면 여러 명이 받는 선후창 형식이다.
「오이사아소리(논매기소리)」는 힘들고 고달픈 논매기를 하면서 노동에 맞는 소리를 하게 되는데, 비교적 자유로운 형식의 여음구를 길게 늘여서 반복한다.
(후)에-이-에-이--/에-이-요-아-오-이--사-/에-이-오-우-우-후-요
(선)에--산의 조종은 곤룡산이고/수의 조종은 황하수래이
(후)에-이-에-이--/에-이-요-아-오-이--사-/에-이-오-우-우-후-요
(선)에--나부요 청산가자/노랑나부요 너도 가재이/에-이-우-요- 가다가 지겨우면은 꽃속에다가 유해가재이
(후)에-이-에-이--/에-이-요-아-오-이--사--/에-이-오-우-우-후-요
현재는 논매기를 하지 않고 농약을 뿌려 잡초를 제거하므로 「오이사아소리(논매기소리)」는 현장을 잃었다. 특히 「오이사아소리(논매기소리)」는 다른 소리에 비해 길고 복잡한 여음구, 불규칙한 박자로 구성되어 있어 구연하기 어려워 더욱 전승이 어려운 상태이다.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의 「오이사아소리(논매기소리)」는 전승과 채록이 어려운 애벌논매기소리로 지역 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로 구성되어 있다. 사설 또한 잘 갖추어져 있어 그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