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089 |
---|---|
한자 | 敎區廳 主敎館 |
분야 | 종교/기독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로4길 112[남산동 225-1]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집필자 | 고소진 |
건립 시기/일시 | 1913년 12월 4일![]() |
---|---|
훼철|철거 시기/일시 | 1964년 12월 15일![]() |
원소재지 | 교구청 주교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로4길 112[남산동 225 -1]![]() |
성격 | 건물 |
양식 | 벽돌조 고딕식|조지안(Georgian)풍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던 일제강점기 천주교 대구대교구 주교의 거처.
교구청 주교관은 드망즈(Florian Demange)[한국명 안세화] 주교가 대구에 부임한 이후, 새로운 주교관이 필요하여 착공되었다. 서상돈(徐相敦)이 토지를 기증하고, 명동성당을 건축한 프와넬(Victor Louis Poisnel)[한국명 박도행] 신부도 설계에 참여하였다. 중국인 벽돌 제조업자와 건축업자, 그리고 프랑스 영사관을 지었던 전문가가 책임 목수로 일하였다고 한다.
교구청 주교관은 1911년부터 측량 및 토목공사를 시작하여 1913년 12월 4일에 건물이 완공되었다. 조지안(Georgian) 양식의 벽돌조 3층 건물이었다. 1964년 화재로 소실되었다.
교구청 주교관 건물은 정면 중앙에 주출입구가 있었다. 현관 상부에 포치(porch)가 설치되었고, 좌우대칭형 구조였다.
벽체 모서리에 쌓여진 귓돌[큐인(Quoin)]은 화강석을 이용하였고, 그 위로 회색 벽돌과 붉은벽돌을 올렸다. 벽면에는 층마다 코니스(Cornice)[돌림띠]로 장식하였다. 창문은 오르내리창과 미서기창을 사용하였다. 회색 벽돌을 쌓아 결원아치(segmental arch) 형태의 창인방을 만들었고, 창선대는 리아스식[齒形]쌓기를 하였다. 지붕은 모임지붕이었고, 페디먼트(pediment), 도머창[dormer窓, 지붕의 경사면 위로 튀어나온 작은 지붕이 있는 창], 굴뚝이 설치되어 장식 효과를 주었다.
교구청 주교관 건물은 1964년 12월 15일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로 인하여 소실되었다. 이때 교구 문서고도 소실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현 주교관은 건축가 윤영도가 설계하고 1966년에 착공하여 1968년에 완공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