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광역시에 분포하는 식물의 모든 종류. 대구광역시 일대에 분포하는 식물은 58과 173속 226종 35변종으로 총 26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고유종인 개나리와 오동 2분류군, 특산종인 가는장구채와 개나리, 오동 3분류군, 희귀종인 목련과 털새동부, 자라풀 3분류군이 관찰되었으며,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야생식물 Ⅰ·Ⅱ급은 관찰되지 않았다. 식물구계학(植物區系學)[특정 지역 식물종...
-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의 종류. 대구광역시 동구는 식물구계학(植物區系學)에서 온대 남부에 해당한다. 동구의 산림 수종은 활엽수 1,309ha, 혼효림 5,673ha, 침엽수 4,442ha, 기타 48ha이다. 소나무·참나무·서어나무·느티나무·까치박달나무·당단풍나무·생강나무 등의 낙엽활엽수가 많이 자라고 있다. 애기자운·솔나리·깽깽이풀·연복초 등의 북방계 식물과 비목나...
-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의 종류. 달성군은 식물 지리학적으로 한국 및 남일본구계구의 중간 지역에 위치하며, 기후적으로 온도대에 따른 식생의 군계 수준에서의 구분은 온대 남부 낙엽 활엽 수림대에 해당한다. 또한 한반도 식물상에 근거한 지역 구분에 의하면 남부아구의 북부 지역에 속한다. 달성군 일대에 분포하는 식생은 소나무·분비나무·단풍나무·자작나무·잎갈나무 등이 있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일원에서 특정 목적에 따라 적절한 보호 조치가 필요하여 지정된 산림. 달성군 일원에는 「산림 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7조에 의거하여 모두 다섯 곳이 보호림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가창면과 화원읍에 각각 2곳과 옥포읍에 1곳이 있다. 보호림은 느티나무·소나무·이팝나무·모감주나무로 구분되는 대표 수종에 따라서 산림 유전 자원 보호림으로 지정되어 있다...
-
대구광역시 동구의 보호수로 지정된 나무. 보호수(保護樹)는 대구광역시 동구에 소재하는 나무 중에서 수령이 오래되었거나 수형이나 품종이 희귀하여 관리·보호가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나무들을 가리킨다. 2017년 현재 대구광역시의 보호수는 130개소에 26종 306그루가 지정되어있다. 동구의 보호수는 25개소에 9종 47그루이며 대구시 보호수 전체의 15.4%를 차지하고 있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보존 및 증식 가치가 있어 보호하는 수목. 달성군에는 시 지정 보호수를 포함하여 총 20여 종류에 속하는 250여 개체 이상의 노거수(老巨樹)[수령이 많고 커다란 나무]가 분포한다. 그 가운데 가장 개체수가 많은 것은 느티나무[35% 이상]이며, 그다음은 팽나무·느릅나무·은행나무·소나무·버드나무·회화나무·왕버들·굴참나무·이팝나무·소태나무·시무나무·조각자나무·향...
-
대구광역시에서 거리의 미관과 국민 보건 따위를 위하여 길을 따라 줄지어 심은 나무. 가로수는 우리 생활 주변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녹지로서 국토 녹화, 경관 조성, 공해 방지 등을 위하여 시가지, 전원, 산간, 해안, 강변 지역의 도로와 길가에 조화 있게 심는 나무이다. 법적으로는 「도로법」 제10조에 따른 도로[고속국도 제외]와 보행자전용도로 및 자전거전용도로 등 대통령령...
-
대구광역시에서 학술·문화·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자 보호하는 나무. 일반적으로 보호수(保護樹)는 수령이 100년 이상 된 노목(老木)·거목(巨木)·희귀목(稀貴木) 중에서도 보존 가치가 있는 나무들이 해당된다. 수령이 500년 이상인 것은 도나무, 300년 이상은 군나무, 200년 이상은 면나무, 100년 이상의 것은 마을나무로 지정·관리한다. 보호수 지정은 생물의 유전자와 종 또는...
-
대구광역시에 조성된 산림 및 수목. 도시림은 도시에 있는 오픈스페이스 중 하나로서 도시숲, 도시녹지 등 다양한 형태로 불리고 있다. 법적인 의미에서는 도시에 있는 산림·수목을 의미하며 각종 도시문제를 완화·저감하고 시민에게 다양한 혜택과 편익을 제공하는 등 환경정책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산림청에서 발표한 제2차 도시림기본계획에 따르면, 도시림에는 도시에서 국민 보건 휴양...
나무
-
대구광역시를 빛낸 역사적인 인물과 관련된 나무. ‘대구 역사속의 인물과 나무’는 대구광역시가 2002년부터 ‘역사속의 인물과 나무’를 테마로 하여 대구광역시를 빛낸 역사적인 인물과 연관성이 있는 오래된 나무를 발굴하여 온 사업이다. 대구광역시는 ‘대구 역사속의 인물과 나무’ 사업을 통하여 역사적인 인물을 나무와 연관시켜 조명함으로써 주변 자연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역사적 상황을...
-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동 압로정 대문 앞에 있는 회화나무. 압로정(狎鷺亭)은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동 왕옥산 아래에 있는 정자이다. 압로정은 언덕에 있어 금호강이 내려다보인다. 조선 전기에 병조참판을 지낸 이영(李榮)[1494~1563]이 건립하였다. 정유재란 때에 불타 없어지는 등 우여곡절을 겪다가 1796년(정조 20) 채필훈(蔡必勳)[1759~1838]이 복원하였다고 한다. 압로...
-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에 있는 버드나뭇과의 낙엽활엽소교목.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수양버들은 버드나뭇과의 낙엽활엽소교목이다. 경대 사대 부속 중, 고교 수양버들은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178[대봉동 60-19, 대봉동 716-1]에 있는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와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전신(前身)이었던 대구사범학교 때부터 있었으며, 대구사범...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경상감영공원에 있는 수령 300년의 회화나무.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99[포정동 21] 경상감영공원 내에 있는 경상감영 선화당 남쪽 마당에는 회화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수령 300년으로 추정되는 이 나무를 경상감영 선화당 회화나무라고 부른다....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경상감영공원에 있는 고욤나무. 중국이 원산지인 고욤나무는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감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경상감영공원 고욤나무는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에 있는 경상감영공원에서도 1807년(순조 7) 경상관찰사 윤광안(尹光顔)이 다시 지은 선화당(宣化堂)[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옆자리에 서 있는 고욤나무이다....
-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 일대에 있는 뽕나무들. 뽕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인 뽕나무는 북반구의 온대, 난대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에 분포한다. 뽕나무의 열매는 식용·약용하고 나무껍질은 노란색 염료로, 목재는 가구재로 쓰는 등, 예전부터 활용 가치가 커서 소중히 여겨진 나무이다. 무엇보다도 잎이 비단실을 뽑는 누에의 사료로 쓰여, 나라에서 뽕나무 심는 것을 장려하였을 정도였다....
-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의 대구 계산동성당에 있는 향나무. 계산성당 향나무는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 10[계산동2가 71-1]에 있는 대구 계산동성당(大邱 桂山洞聖堂)[국가 지정문화재 사적]의 중앙 정원 성모상 옆에 있다. 대구 계산동성당은 대구 지역에서 유일한 1900년대 성당 건축물이며, 과거 고 김수환 추기경이 성직자로 서품된 바 있는 성당이다....
-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에 있는 수령 약 100년의 감나무.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의 천주교 대구대교구 주교좌계산대성당 안에는 2020년 11월 현재 수령이 약 100년이 된 감나무 한 그루가 있다. 대구광역시에서는 대구 출신의 유명 화가인 이인성(李仁星)[1912~1950]을 기리고자 ‘계산성당 이인성 감나무’라고 하며 ‘이인성 나무’라고도 줄여 부른다. 또한, 이인성이 1930년...
-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 계성중학교에 있는 상록침엽교목. 소나뭇과의 상록침엽교목인 히말라야시더는 히말라야가 원산지이며 개잎갈나무·히말라야삼나무·설송(雪松) 등으로도 불린다. 계성학교 히말라야시더는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에 있던 계성학교[지금의 계성중학교] 일대에 조성되어 있다. 계성학교는 현재 대구광역시에 있는 계성중등학교, 계성고등학교의 전신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의 구목으로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의 낙엽 교목. 고로쇠나무는 활기차고 풍요롭게 발전하는 동구 구민의 기상을 상징하는 구목(區木)이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모동에 자생하는 수령 약 340년의 이팝나무. 이팝나무는 우리나라,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물푸레나뭇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이며, 대구광역시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대구광역시에는 오래된 이팝나무가 곳곳에 자생하고 있는데, 고모동 이팝나무도 그중의 하나이다. 고모동 이팝나무는 수성구 고모동 393에서 함께 자라는 이팝나무 네 그루를 가리키는데...
-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광복을 기념해서 심은 소나무. 단양우씨 집성촌 청년들이 광복을 기념해서 소나무를 선택한 것은 이 나무가 우리나라를 상징하기 때문이었다. 애국가에 등장하는 소나무는 우리 민족의 삶 자체였다. 우리민족은 자식이 태어나면 새끼줄에 소나무 가지를 엮어서 무병장수를 기원했으며, 소나무로 만든 집에서 살았으며, 죽으면 소나무로 관을 만들었다. 그래서 우리나라 나무 중에...
-
대구광역시 북구 국우동 도남정사에 있는 감나무. 동아시아 온대의 특산종인 감나무는 한국의 중부 이남,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과실나무의 하나이며 감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국우동 감나무는 독립지사이자 소설가로서 다양한 삶을 살다간 최고(崔杲)[1924~1988]가 말년을 보낸 지금의 대구광역시 북구 국우동 도남정사(道南精舍)에 있는 감나무이다....
-
대구광역시 북구 국우동에 있는 수령 490년의 보호수. 중국 동부, 타이완, 일본 등에 분포하는 느티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 자라는 느릅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국우동 느티나무는 대구광역시 북구 국우동 산143번지에 있는 느티나무 보호수이다. 1982년 10월 30일 보호수[고유번호 5-3]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 북구 국우동에 있는 수령 약 430년의 탱자나무. 중국이 원산지인 탱자나무는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되어 있는 운향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경상도·전라도 지역 등 따뜻한 지역에 분포한다. 국우동탱자나무는 대구광역시 북구 국우동 685에 있는 세 그루의 탱자나무인데, 다른 천연기념물이나 기념물에 뒤지지 않는 크기에 수령도 430년 정도로 오래되어 기념물로...
-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 있는 상록침엽교목. 소나뭇과의 상록침엽교목인 히말라야시더는 히말라야가 원산지이며 개잎갈나무·히말라야삼나무·설송(雪松) 등으로도 불린다.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히말라야시더는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670[동인동2가 78] 국채보상운동기념관을 중심으로 하는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일대에 조성되어 있다.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은 1907년 대구 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대구남산교회 앞에 있는 나무. 목련과의 낙엽활엽교목인 튤립나무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꽃의 모양이 튤립과 비슷하다 하여 튤립나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튤립은 완전히 다른 종류이다. 꽃의 모양이 백합과도 같다 하여 백합나무로 불리기도 한다. 남산교회 튤립나무는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941-22에 있는 대구남산교회 정문 앞에 심어져 있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서식하는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 달성군 일원의 산지 비탈진 곳의 아랫부분이나 골짜기 또는 마을 부근의 흙이 깊고 진 땅에서 잘 자라는 장수목(長樹木)으로 생장 속도가 빨라서 정원수나 가로수로 많이 심는다....
-
대구광역시에서 많이 재배되는 대표 과일나무. 장미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우리나라 특산종이며 경기도, 경상북도, 황해도 등지에 분포한다. 열매인 능금은 그 이름이 임금(林檎)에서 유래하였으며 다른 말로는 화홍(花紅), 머자라고도 한다. 과거에는 능금을 사과와 동일시하기도 하였으나, 사과는 외래종이고 능금은 재래종이다. 능금은 사과보다 작고 시며 맛이 덜하다....
-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동 달성공원에 있는 수령 150~180년 정도의 향나무 두 그루. 향나무 품종의 하나인 가이즈카향나무는 일본이 원산지여서 왜향나무라 불리기도 한다. 달성공원 가이즈카향나무는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동 달성공원에 있는 가이즈카향나무 두 그루를 일컫는다. 대한제국 황제 순종과 조선통감부 초대 통감을 지낸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1909년 1월 달성공원을 함께 방문한...
-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동 달성공원에 있는 수령 약 150년의 낙엽활엽교목. 느릅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인 참느릅나무는 중국·타이완·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경기도 이남에 자생한다. 달성공원 참느릅나무는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동 294-3에 있는 달성공원의 정문을 들어서면 마주 보이는 잔디밭에 서 있는 참느릅나무이다....
-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동 달성공원에 서 있는 느릅나뭇과에 속하는 팽나무. 팽나무는 주로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와 강원도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 분포한 느릅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우리나라 중남부 지역의 마을 어귀나 중심에서 마을을 상징하는 나무 또는 당산나무로 자리 잡는 경우가 흔하다....
-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동 달성공원에 있는 수령 300년의 회화나무.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동에 있는 달성공원 가운데에는 회화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이 나무를 달성동 회화나무라고 하며, 서침나무라고도 한다. ‘서침나무’라는 이름은 조선 전기 문신이었던 서침(徐沈)[?~?]을 기리고자 세종대왕이 회화나무를 심고 ‘서침나무’로 칭하게 하였다는 이야기로부터 유래한다. 달성동 회화나무는 2...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에 있는 수령 280년의 보호수. 중국 동부, 타이완, 일본 등에 분포하는 느티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 자라는 느릅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대곡동 느티나무는 수령이 280년 정도로 추정되는 오래된 정자나무인데,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 855번지에 서 있다. 1994년 9월 27일에 대구광역시 보호수 7-8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한샘공원에 있는 수령 320년의 회화나무.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354 한샘공원 내에는 회화나무 세 그루가 서 있는데, 그중 두 그루를 일컬어 대천동 회화나무라고 한다. 대천동 회화나무는 1982년 10월 30일 대구광역시 보호수 지정번호 7-3으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 북구 도남동에 있는 수령 290년의 보호수. 중국 동부, 타이완, 일본 등에 분포하는 느티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 자라는 느릅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도남동 느티나무는 수령이 290년 정도로 추정되는 오래된 큰 나무로서 대구광역시 북구 도남동 산87번지에 있다. 1982년 10월 30일에 대구광역시 보호수 5-2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에 있는 보호수 두 그루. 중국 동부, 타이완, 일본 등에 분포하는 느티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 자라는 느릅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도원동 느티나무는 대구광역시 달서구의 도원동 670번지와 도원동 1006번지에 각각 서 있는 두 그루의 느티나무를 일컫는다. 도원동 느티나무 두 그루 모두 1982년 10월 30일에 시보호수로 지정되었는...
-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에 있는 수령 500년의 보호수. 중국 동부, 타이완, 일본 등에 분포하는 느티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 자라는 느릅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동변동 느티나무는 대구광역시에서 북구 서변동 버스정류장을 지나 동으로 동화천에 놓인 다리를 건너서 동남쪽으로 비스듬하게 열린 도로를 한참 가면 길 왼편 공터인 북구 동변동 634-4번지에 자리 잡고...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동부교육청에 있는 상록침엽교목. 소나뭇과의 상록침엽교목인 히말라야시더는 히말라야가 원산지이며 개잎갈나무·히말라야삼나무·설송(雪松) 등으로도 불린다. 동부교육지원청 히말라야시더는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2동 630에 있는 대구광역시 동부교육지원청에 서 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있는 대구 사과나무의 효시목. 대구광역시가 과거에 사과의 고장으로 불렸던 것은 대구 지역의 사과 재배가 아주 활성화되었던 데에도 이유가 있지만, 외래종인 사과를 우리나라 최초로 심은 곳이 대구 지역이라는 역사성 때문이기도 하다. 동산동 사과나무가 바로 그 대구 사과나무의 출발을 대표한다. 1899년 10월 경상북도·대구 지역 최초로 설립된 근대식 병원이었던...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있는 수령 약 200년의 보호수. 이팝나무는 우리나라,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물푸레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이팝나무라는 이름은 늦은 봄에 피는 이팝나무 꽃이 멀리서 보면 꽃송이가 사발에 소복이 얹힌 하얀 쌀밥처럼 보인다 하여 쌀밥을 뜻하는 이밥을 붙여 ‘이밥나무’라고 하였다가, 나중에 ‘이밥’이 ‘이팝’으로 변하였다고 한다. 또 다른 어원으...
-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동 두류공원에 있는 꽃나무. 부처꽃과의 낙엽소교목인 배롱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이다. 꽃이 백 일 동안 핀다 하여 백일홍나무라고도 한다. 조선 전기 농업서 『양화소록(養花小錄)』에서는 예전부터 배롱나무를 정원수로 애용하였고 주로 연못가에 심었다고 한다. 두류공원 배롱나무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3동 588-3에 있는 두류공원에 조성된 배롱나무 군락이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에 있는 수령 640년의 보호수. 중국이 원산지인 모과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의 인가 지역에 흔히 심어지는 장미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만촌동 모과나무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육군제2작전사령부[별칭 무열대] 본관 앞에 서 있는 수령 640년 정도의 모과나무이다. 1982년 10월 30일 대구광역시 보호수 6-8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 북구 매천동에 있는 수령 840년의 은행나무. 은행나뭇과의 낙엽교목인 은행나무는 원산지가 중국이며 한국, 중국, 일본 등에 주로 분포한다. 신생대 에오세에 번성하였던 식물 중에서는 유일하게 남아 1문 1강 1목 1과 1속 1종만이 현존하여 오기에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 불리며, 실제로 2억 7000만 년 전 화석으로도 발견된다. 황색 열매의 모양이 살구와 비슷하여 은행...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에 있는 수령 240년의 보호수. 중국 동부, 타이완, 일본 등에 분포하는 느티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 자라는 느릅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범물동 느티나무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 464번지에 있는 수령 240년 정도 된 느티나무이다. 1982년 10월 30일에 대구광역시 보호수 6-6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 범어네거리에 있는 수령 550년의 은행나무. 한국, 중국, 일본 등에 주로 분포하는 은행나무는 1문 1강 1목 1과 1속 1종만이 현존하여 오는 은행나뭇과의 낙엽교목이다. 신생대 에오세에 번성하였던 식물로서 당시 식물 중에서는 유일하게 남아 있기에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 불리며, 실제로 2억 7000만 년 전 화석으로도 발견된다. 황색 열매의 모양이 살구...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2동에 있는 벽오동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1925년 교육사업가 김울산(金蔚山)[1858~1944]은 1925년 대구명신학교를 인수하여, 조국의 광복을 의미하는 ‘복명(復明)’으로 이름을 붙여 복명여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26년에 대구복명여자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면서 교목을 벽오동나무로 정하였다. 예부터 봉황이 깃드는 상서로운 나무로 여겨졌던 벽오동나무에...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에 있는 수령 120년의 모감주나무. 모감주나무는 무환자나무와 함께 무환자나뭇과에 속한 낙엽활엽교목이다. 씨로 염주를 만들기에 염주나무로 불리기도 한다. 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와 강원도 이남에서 자생한다. 산격동 모감주나무는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산4-1에 있다. 원래는 북구 고성동에 자생하다가 도로 개설로 사라질 위기에 처하게 되었...
-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월곡역사공원 내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회화나무. 상인동 회화나무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에 있는 월곡역사공원 안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이 된 회화나무이다. 상인동 회화나무는 ‘우배선 나무’라고도 한다. 상인동 회화나무는 상인동 905번지에 자리 잡고 있으며, 2013년 9월 24일 대구광역시 보호수 지정번호 지정번호 7-11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서문로1가 종로초등학교에 있는 수령 400년의 회화나무.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49[서문로1가 1-5]에 있는 종로초등학교에는 회화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이 나무를 서문로1가 회화나무라 하며, ‘최제우 나무’라고도 부른다. 서문로1가 회화나무는 가까이에 있는 경상감영의 역사와 함께한 오래된 아름드리 나무이고 형태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도심에서는 보기 드물...
-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에 자생하는 수령 150년의 왕버드나무. 왕버들은 버드나뭇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이다. 버드나무와 비교하면 키가 크고 잎도 넓어서 ‘왕버들’이라는 이름이 생긴 것으로 추측하며, 왕버드나무라고도 한다. 원산지인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대구광역시를 비롯한 남부·중부 지역에 자생하는데, 대구광역시에서는 수령이 최소 150년 이상 되는 오래된 왕버들이 여러 그루 자생하고...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에 있는 수령 260년의 보호수. 한국, 일본, 만주 등지의 산기슭이나 평지에서 자라는 향나무는 측백나뭇과의 상록침엽교목이다. 상나무 또는 노송나무로 부르기도 한다. 성당동 향나무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72-10에 있는 대구광역시 종합복지회관의 광장 들머리를 지키고 있는 수령 260년의 노거수(老巨樹)이다. 2009년 12월 21일 대구광역시 보호수 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에 있는 수령 320년의 보호수. 중국 동부, 타이완, 일본 등에 분포하는 느티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 자라는 느릅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성동 느티나무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 172에 있는 고산서당(孤山書堂)의 동쪽에 자리 잡고 있는 느티나무 두 그루를 일컫는다.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고산서당은 퇴계(退溪) 이황(李滉)과...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서식하는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 교목. 소나무는 달성군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산림의 으뜸을 이루는 나무로 북부 고원 지대나 고산의 정상 부근을 제외하고 거의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달성군에도 단일 수종으로는 이에 따를 나무가 없을 만큼 많지만 아름드리 노거수는 과히 흔하지 않다. 주로 관상용·정자목·신목(神木)·당산목으로 많이 심어졌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동에 있는 수령 390년의 보호수. 중국 동부, 타이완, 일본 등에 분포하는 느티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 자라는 느릅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수성동1가 느티나무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동1가 642번지에 있는 느티나무이다. 1982년 10월 30일 대구광역시 보호수 지정 번호 6-2로 지정되었다. 수령은 390년 정도로 추정되며, 오랫...
-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 수성못에 자생하는 수령 100년의 왕버드나무. 왕버들은 버드나뭇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이다. 버드나무와 비교하면 키가 크고 잎도 넓어서 ‘왕버들’이라는 이름이 생긴 것으로 추측한다. 왕버드나무라고도 한다. 원산지인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대구광역시를 비롯한 남부·중부 지역에 자생하는데, 특히 대구광역시에는 수령이 오래된 왕버들이 많으며 보호수로 지정된 왕버들도...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신명고등학교에 있는 향나무. 한국, 일본, 만주 등지의 산기슭이나 평지에서 자라는 향나무는 측백나뭇과의 상록침엽교목이다. 상나무 또는 노송나무로 부르기도 한다. 신명학교 향나무는 일제강점기 대구 지역에서 유일하게 3·1운동에 가담한 여학교인 신명여자고등학교[현재의 신명고등학교]가 1972년 제65주년 개교 기념으로 신명 3·1운동 기념탑을 건립하면서 심은 향...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앞산에 자생하는 장미과에 속하는 희귀식물. 장미과의 낙엽활엽관목으로, 자작나뭇과인 박달나무와는 관련이 없는 나무이다. 우리나라와 중국의 만주 지역에 분포한다. 가침박달나무라는 이름은 나무의 씨방이 바느질할 때의 감치기 모양으로 생겼고 나무 재질의 단단함이 박달나무 버금간다 하여 감치기박달로 불리다가 가침박달로 변천되었다고 한다. 산림청에서 지정한 보존 우선순...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 있는 앞산에 서식하는 벚꽃나무 무리. 대구광역시 남구 앞산순환로 574-116[대명9동 산227-1]에 있는 앞산공원을 중심으로 하는 일원에서는 4월 무렵이 되면 봄을 맞아 활짝 핀 벚꽃들로 장관을 이루는데, 이를 ‘앞산 벚꽃나무’라 부른다. 앞산 벚꽃나무는 남구 대명동 쪽에서는 안지랑네거리를 지나 앞산순환로[대구광역시도 제22호선]로 이어지는 일대의 도로...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앞산자락길에 자생하는 이팝나무 군락. 앞산자락길 이팝나무는 2009년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앞산 일대에 조성된 앞산자락길 제3구간에 자리 잡고 있다. 앞산자락길은 앞산을 둘러싸고 용두골 장암사에서 달비골까지 이어지는 도보 산책길인데, 메타세쿼이아길, 맨발산책길, 이팝나무길, 호국선열의 길, 꽃무릇길, 소원성취길 등 총 6개 구간의 다양한 길로 이루어져 있다...
-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에 있는 수령 1,000년, 400년의 보호수 두 그루. 중국 동부, 타이완, 일본 등에 분포하는 느티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 자라는 느릅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연경동 느티나무는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 879에 있는 느티나무 두 그루인데, 연경동 연경교에서 태봉마을 방향으로 500m 정도 가다 보면 약 6m의 간격을 두고 동서로 마주...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영남이공대학교 교정에 있는 수령 50년의 전나무.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나무는 우리나라, 일본, 만주, 유럽 북부 등지에 분포하는 소나뭇과의 상록침엽교목이다. 영남이공대학교 전나무는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317-1에 있는 영남이공대학교 교정에 서 있는 전나무이다. 1972년 4월 12일에 당시 대통령 박정희의 부인인 육영수가 영남이공대학교의 전신...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오천서원에 있는 은행나무. 은행나뭇과의 낙엽교목인 은행나무는 원산지가 중국이며 한국, 중국, 일본 등에 주로 분포한다. 신생대 에오세에 번성하였던 식물 중에서는 유일하게 남아 1문 1강 1목 1과 1속 1종만이 현존하여 오기에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 불리며, 실제로 2억 7000만 년 전 화석으로도 발견된다. 황색 열매의 모양이 살구와 비슷하여 은행(銀杏)...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서식하는 버드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 왕버들은 달성군의 습지나 하천가에 호안림(護岸林)[강기슭과 하천 부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강둑에 조성한 숲] 또는 풍치수(風致樹)로 심어져 있고, 군락을 형성하여 제방을 따라 일렬로 늘어서 있다....
-
대구광역시에 서식하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우리나라에서 분포하는 왕벚나무는 산벚나무와 올벚나무가 자연 상태에서 교잡된 종이며, 전 세계적으로 제주도의 한라산과 전라남도 해남군의 대둔산에서만 자생하는 특산종이다. 전국에 분포하는 대부분의 벚나무는 우리나라 벚나무를 일본에서 개량한 종과 접목하여 만들어 낸 것이기에, 우리나라 고유의 자생종이 아니라 유전적으로 다른 품종이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서식하는 은행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 달성군의 마을 입구, 향교나 서원의 사적지, 길가 등에 분포하는 은행나무는 풍치목 또는 정자목으로 많이 심는다. 장수목으로 토양 조건에 관계없이 잘 자라며 가을에 노란 단풍과 함께 약용하는 열매가 열린다....
-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에 있는 수령 320년의 보호수.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팽나무는 우리나라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산기슭이나 골짜기, 바닷가에서 흔히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이다. 읍내동 팽나무는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 1090에 있는 경주배씨(慶州裵氏) 달성파(達城派) 성담(聖潭) 문중의 재실인 원모재(遠慕齋) 앞뜰에 서 있는 팽나무이다. 1999년 8월 31일 지정...
-
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에 있는 수령 190년의 보호수.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팽나무는 우리나라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산기슭이나 골짜기, 바닷가에서 흔히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이다. 이곡동 팽나무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 1186-15에 서 있는 팽나무이다....
-
2013년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군목으로 지정된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 . 이팝나무는 달성군의 군목(郡木)으로 천혜의 자연이 어우러진 달성 군민의 넉넉한 마음을 상징하는 한편, 달성군의 비옥한 땅을 의미한다. 이팝나무에 꽃이 필 때는 나무가 흰 꽃으로 덮여서 멀리서 보면 흰눈이 온 듯하고 마치 나무에 하얀 쌀밥이 달린 것처럼 보인다. 달성군 가창면 행정리 349번지에 있는...
-
대구광역시 동구 신숭겸장군 유적에 있는 보호수.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의 배롱나무는 팔공산 전투에서 고려 태조 왕건을 대신해서 죽은 신숭겸 장군을 기념하기 위해 심은 것이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 일원 세 곳에 있는 느티나무 보호수. 지산동 느티나무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 세 곳에서 오랜 세월 자리를 지키고 있는 보호수 세 그루이다. 1982년 10월 30일 대구광역시 보호수 지정 번호 6-3, 6-4, 6-5로 각각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동에 있는 수령 520년의 보호수. 중국 동부, 타이완, 일본 등에 분포하는 느티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 자라는 느릅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진천동 느티나무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동 482-57번지에 있으며, 마을에서는 정자목 역할을 하는 수령 520년 정도의 오래된 나무이다. 1999년 8월 1일 고유번호 7-9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동에 있는 수령 190년의 보호수.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화로19길 15-22[진천동 426]에 있는 진천창의어린이집 앞에는 수령 약 190년 된 진천동 회화나무가 있다. 진천동 회화나무는 원래 마을을 지키는 당산나무로서 마을 가운데에 심었는데, 마을이 개발되고 건물들이 들어섬에 따라 차츰 좁아지는 공간에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진천동 회화나무는 1982년 1...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천주교 대구대교구청에 있는 상록침엽교목. 소나뭇과의 상록침엽교목인 개잎갈나무는 히말라야가 원산지이며 히말라야시더·히말라야삼나무·설송(雪松) 등으로도 불린다. 천주교 대구대교구청 히말라야시더는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225-1에 있는 천주교 대구대교구청 앞에 심어진 나무이며, 대구 출신인 민족운동가 서상돈(徐相燉)[1851~1913]이 직접 심은 것으로 전하고...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있는 측백나뭇과의 상록침엽교목. 측백나뭇과의 상록침엽교목인 측백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청라언덕 측백나무는 1900년대 초에 개신교 선교사들이 머무르면서 교육·의료·구제 등의 활동을 벌였던 지금의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424번지에 심어져 있는 측백나무를 일컫는다. 청라언덕은 선교사들이 언덕 곳곳에 담쟁이덩굴을 심었기에 푸른...
-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 칠곡향교에 있는 수령 400년의 은행나무. 은행나뭇과의 낙엽교목인 은행나무는 원산지가 중국이며 한국, 중국, 일본 등에 주로 분포한다. 신생대 에오세에 번성하였던 식물이며, 당시 식물 중에서는 유일하게 남아 1문 1강 1목 1과 1속 1종만이 현존하여 오기에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 불린다. 실제로 2억 7000만 년 전 화석으로도 발견된다. 황색 열매의 모...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에 있는 낙엽활엽교목.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팽나무는 우리나라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산기슭이나 골짜기, 바닷가에서 흔히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이다. 예부터 우리 선조들이 신목(神木)으로 여긴 3대 당산나무 중 하나이자, 우리나라 정자목으로는 느티나무 다음으로 많이 심어져 있는 수종이다. 특히 남부 지역에서는 정자나무인 동시에 당산나무로 알려져 있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모동에 있는 향나무.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모동에 있는 팔현마을은 조선 전기 문신이자 청백리였던 문평공(文平公) 전백영(全柏英)[1345~1412]이 자신의 집에 심은 향나무가 팔자 모양으로 자랐고, 마을이 대구로 통하는 고개[현(峴)]에 있어 ‘팔현’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전백영이 심은 향나무는 현재 남아 있지 않은데, 그 나무가 어디에 심어졌는지도 알려진...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서식하는 느릅나무의 낙엽 활엽 교목. 달성군 곳곳에 분포하며, 마을 입구나 중심에서 마을 나무 또는 당산나무로 자리 잡아 전통 민속 경관을 특징짓는 대표 종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에 있는 보호수. 버드나뭇과의 갈잎큰키나무 왕버들은 버드나무 중에서 아주 크다는 뜻이다. 왕버들의 한자는 귀류(鬼柳) 혹은 하류(河柳)다. 특히 귀류는 이 나무의 특성과 관련해서 붙인 이름이다. 왕버들은 줄기가 굵고 몸집이 커서 다른 버드나무에 비해 웅장하다. 이 나무가 오래 살면 줄기의 일부가 썩어서 큰 구멍이 생긴다. 어두운 밤에 이 구멍에서 종종 불이 비...
-
대구광역시 서구 평리동 당산목공원에 있는 수령 약 300년의 회화나무. 평리동 회화나무는 대구광역시 서구 평리3동 707-49에 서 있다. 평리동 회화나무는 ‘평리동 당산나무’라고도 부른다. 평리동 회화나무는 의로운 선비와 선비를 사모한 한 여인의 영혼이 회화나무로 탄생하였다는 전설을 가진 나무로서 주민들에게 당산나무로 모셔지고 있으며, 가까이에 있는 비산동 일대 주민들이 해마다...
-
대구광역시 동구에서 자라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홍옥 사과나무. 장미과의 갈잎떨기나무 사과(沙果)나무는 중국 화북지방 빈과(蘋果)의 방언이다. 영어의 애플(Apple)이 바로 빈과에 해당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1670년 전까지 사과 단어가 등장하지 않는다. 사과를 의미하는 또 따른 한자는 내(柰)이다. 개화기의 서양능금은 ‘서양 선교사’와 ‘일본인 농업 이민’을 통해 우리나라에...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서식하는 콩과의 낙엽 활엽 교목. 회화나무는 주로 정자목·기념수·공원수·가로수 등으로 활용되는데 마을 주변과 산지, 농지의 경계에서 많이 자란다. 토심이 깊고 비옥한 곳을 좋아하나, 물기가 적어도 잘 살고 병충해에도 강하다....
숲과 군락
-
대구광역시 동구 매여동에 있는 학교부속시설. 대구학술림은 소백산맥의 남단에 있는 팔공산 초례봉 중심으로 남서쪽으로 경사져있다. 대구학술림은 초례봉을 기점으로 다락골·서당골·탑상골로 구성되어있다....
-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에 있는 낙엽침엽교목의 숲. 대구광역시 남구청은 2010년 남구 용두2길 43[봉덕동 1256]에 있는 앞산공원 고산골 입구에 대구 최초로 메타세쿼이아를 가로수로 심어 길을 조성하였다. 고산골 메타세쿼이아숲은 2021년 현재 도로 폭 12m, 길이 1㎞ 정도 규모이며, 앞산과 아름답게 조화를 이루어 앞산공원을 찾는 연간 350만 명의 시민에게서 크게 사랑받고...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 세청 숲에 있는 1991년 보호림으로 지정된 이팝나무 군락지. 교항리 이팝나무 숲은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 다리목 마을에서 100m 정도 떨어진 구릉지에 있는 숲으로, 1991년 7월 24일 희귀 식물 자생지 보호림 제8-3호로 지정되어 관리하고 있다. 면적은 1만 5510㎡이고, 위치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 957번지 외 2필지이다. 대표...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 일대에 형성된 모감주나무 군락지. 달성군 화원 유원지 북동쪽 진천천과 맞닿아 있는 모감주나무 군락지는 「산림 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7조에 의거하여 2000년 10월 18일 보호림 제8-5호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1만 9735㎡이다. 위치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 산99-1번지 외 1필지이고, 소유자는 현지 산 주인 대구시...
-
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에 있는 모감주나무 군락. 무환자나뭇과의 갈잎큰키나무 모감주나무 유래는 정확하지 않지만, 염주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일설에는 중국 선종을 대표하는 영은사(靈隱寺) 주지의 법명이 묘감(妙堪)이고, 불교에서 보살이 가장 높은 경지에 오르면 ‘묘각(妙覺)’으로 부른 데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측한다. 이 나무의 열매가 금강석처럼 아주 단단해서 ‘금강자(金剛子)...
-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에 있는 측백나무 숲. 측백나뭇과의 늘푸른큰키나무 측백(側柏)나무의 이름은 이 나무의 열매와 오행(五行)과 연결되어있다. 측백나무는 잎이 납작하고 도깨비 뿔 같은 돌기가 달린 손가락 마디만 한 열매가 달린다. 측백나무의 한자 백은 바로 이 나무의 열매를 본 떠 만들었다. 그런데 흰 백은 열매 모양이기도 하지만 오행에서는 서쪽을 의미한다. 다른 나무들은 모두 동쪽...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옻골마을 입구에 조성된 비보 성격의 당숲.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옻골마을 입구에 조성된 숲은 마을 숲의 기능 중 하나인 비보(裨補)숲이다. 비보는 ‘부족한 것을 보충한다’는 뜻으로 무엇을 보충하느냐에 따라 선택하는 대상이 달라서 그 범주가 아주 넓다. 특히 비보는 우리나라 풍수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우리나라 풍수에서 비보가 발달한 것은 땅이 넓지 않...
-
대구광역시에서 학생들의 정서 함양과 생태 학습을 목적으로 조성한 숲. 명상숲은 「초·중등교육법」이 규정하는 학교와 그 주변 지역에서 국민에게 쾌적한 생활환경과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하고 자연학습 교육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조성·관리하는 산림, 수목을 말한다. 산림청은 1999년부터 전국의 지방자치단체와 공동으로 ‘명상숲 조성사업’을...
-
대구광역시에 조성된 마을 숲. 전통마을숲은 산림청에서 조성·관리하는 ‘도시숲’의 일종이다. 도시숲은 국민의 보건 휴양·정서 함양 및 체험 활동 등을 위하여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을 말하는데, 전통마을숲을 비롯하여 공원, 학교숲, 산림공원, 가로수[숲]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 중에서 전통마을숲은 숲 문화의 보전과 지역 주민의 생활환경 개선 등을 위하여 마을 주변에 조성·관리하...
-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 동화천 냇가에 조성된 평균 수령 150년의 왕버드나무 군락. 왕버드나무는 버드나뭇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이다. 버드나무와 비교하면 키가 크고 잎도 넓어서 ‘왕버드나무’라는 이름이 생긴 것으로 추측한다. 왕버들이라고도 한다. 원산지인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대구광역시를 비롯한 남부·중부 지역에 자생하는데, 동화천 왕버드나무 군락은 대구광역시에서 마지막 남은 생태...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서 봉덕동 사이에 조성된 잣나무 군락. 잣나무는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하는 콩과의 상록침역교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해발 300~1,900m 고지의 험준하고 양지바른 비탈, 험한 바위산에서 볼 수 있다. 대구광역시[당시 대구직할시]는 1983년 대형 산불로 산림이 훼손되자 산림 복구를 위하여 지금의 남구 대명동 앞산공원관리사무소 부근에서 남구...
-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큰골에 자생하는 참나무 군락지. 참나무는 주로 북반구의 온대와 열대에 분포하며, 한반도에서는 평안도와 함경남도 이남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이다. 참나무라는 이름은 쓰임새가 많은 나무라는 뜻이며, 참나뭇과 참나무속에 속하는 여러 수종을 함께 가리키는 이름이다....
-
대구광역시 서구 와룡산 용미봉에 있는 진달래 군락지. 진달래는 한국, 일본, 중국, 몽골 등지에 분포하는 진달랫과의 낙엽활엽관목이다. 와룡산 진달래 군락지는 대구광역시 서구에 있는 와룡산의 용미봉 일대에 무리지어 자생하는 진달래의 군락지이다. 와룡산은 해발 299.7m이며, 서구 쪽이 용의 꼬리[용미봉], 달서구 쪽이 용의 몸체, 달성군 쪽이 머리[용두봉]이다. 전설에 따르면 지나...
-
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동에 있는 소나무 숲. 소나무는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하는 소나뭇과의 상록침엽교목이다. 장지산 송림은 월곡역사공원 내에 있는 울창한 소나무 숲이다. 월곡역사공원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한 월곡(月谷) 우배선(禹拜善)[1569~1620]을 기리고자 단양우씨(丹陽禹氏) 문중에서 서원 부지와 장지산 송림 등을 포함한 공원 부지를 제공하여...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 일대에 1982년 보호림으로 지정된 느티나무 숲. 정대리 느티나무 숲은 가창댐을 지나 달성군 가창면 오리에서 용계천 상류 방향으로 계속 들어가면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를 지나서 왼편 계곡과 접한 평탄지에 있다. 위치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 649-14번지 외 7필지이다. 나무는 평균적으로 수령 약 150년, 높이 약 13m, 가슴높이 둘레...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행정리 일원에 분포하는 소나무 군락지를 1997년 산림 자원 보호림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는 숲. 달성군 가창면 행정리 흥덕 마을 앞에 조성된 행정리 소나무 숲은 면적이 1만 5896㎡이다. 대표 수종은 소나무이고, 총 456그루가 숲을 이루고 있다. 평균적으로 수령 약 130년, 높이 약 10m, 가슴높이 둘레 약 0.3m이다. 1999년 7월 22일에...
-
대구광역시 달서구 호산동에 있는 낙엽침엽교목의 숲. 원산지가 중국인 메타세쿼이아는 한국, 중국 등에 분포하는 낙우송과의 낙엽침엽교목이다. 호산동 메타세쿼이아숲은 대구광역시 달서구청은 1995년에서 1996년 사이에 달서구 호산동의 근린공원인 호산공원을 중심으로 호산고등학교와 호산초등학교로 이어지는 1㎞ 길을 따라 메타세쿼이아 250여 그루로 조성한 숲이다. 1㎞의 숲길은 호산동 메...
-
효심과 보릿고개 전설을 간직한 이팝나무 숲 옥포읍 교항리 다리목 마을에는 수령 200~300년의 이팝나무가 군락을 이뤄 해마다 봄철이면 장관을 이룬다. 이팝나무라는 이름은 꽃이 필 때 나무 전체가 하얀 꽃으로 뒤덮여 '이밥', 즉 쌀밥과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얘기가 있다. 이팝나무는 24절기 중 여름의 문턱인 입하(立夏) 무렵에 꽃이 피기 때문에 '입하목(立夏木)'으로 불리...
숲 체험
-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에 있는 유아 전용 숲 체험원. 고산골 유아숲체험원(孤山골乳兒森林體驗園)은 야외 체험학습장과 숲 놀이 체험 시설로 운영되는데, 숲속에서 다양한 체험과 놀이 활동을 할 수 있다. 유아숲체험원 주변으로는 정자나 벤치가 설치되어 있어 앞산 산책이나 산행을 즐기는 이용자들에게 쉼터를 제공하고 있다....
-
대구광역시에서 조성한 산림 체험 시설. 숲 체험장은 산림을 통한 휴양과 정서적 교육, 건강한 성장을 도모하고자 산림의 다양한 기능을 체험할 수 있도록 만든 시설을 일컬으며, 크게 산림욕장, 유아숲체험장, 자연휴양림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산림욕장은 도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시 근교 5㏊ 규모의 산림을 대상으로 산책로, 간이 체육시설, 자연학습장 등의 편익 시설을 설치하...
-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동에 있는 두류공원 내 유아 숲 체험원. 두류공원 유아숲체험원(頭流公園乳兒森林體驗園)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동에 조성된 두류공원 내 유아 전용 숲 체험원이다. 두류공원 유아숲체험원은 두류공원 인물동산 끝자락에 있는 대구사범학생 독립운동 기념탑 바로 뒤편에 자리 잡고 있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무학산에 조성된 유아들을 위한 숲 체험원. 무학산 유아숲체험원(舞鶴山乳兒森林體驗園)은 수성구 황금동 무학산에 조성된 숲 체험원이다. 무학산 유아숲체험원은 놀이 겸 체험 공간으로 조성되었는데, 숲 체험 프로그램은 계절별, 시기별로 다양한 주제로 진행된다. 어린이집, 유치원 등은 정기반으로 평일 오전, 오후 각 15~20명씩 2시간 정도 무학숲도서관과 연계한...
-
대구광역시 동구 금강역 맞은 편 안심창조밸리에 있는 연 생태관. 연 생태관은 점새늪에 자생하고 있는 다양한 연을 보존하고 이를 홍보 및 학습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금강역 맞은 편에 있으며,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 연근 재배지이면서 전국 연 생산량의 40%를 차지하는 안심지역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공간이다. 이는 점새늪 연꽃 생태공원과 함께 안심연꽃단지를 이루는데, ‘...
-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 운암지수변공원 내에 조성된 유아 숲 체험원. 운암지 유아숲체험원(雲巖池 乳兒森林體驗園)은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 운암지수변공원 내 부지에 2015년 조성된 유아 숲 체험원이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에 있는 산림욕장. 진밭골산림욕장(진밭골山林浴場)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의 대구도시철도 용지역 인근 진밭골 국유림에 조성된 산림욕장이다. 진밭골삼림욕장은 도심 생활권에서 가까워 접근성과 활용 가치가 높다....
꽃
-
대구광역시 동구에서 서식하고 있는 붓꽃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붓꽃과의 노랑무늬붓꽃은 가산 정상 주변부 970m 이상 능선부에 분포한다.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로 지정·보호했으나 2012년 해제되었다....
-
대구광역시 동구에서 서식하고 있는 붓꽃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솔붓꽃은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모양은 각시붓꽃과 매우 흡사하나 뿌리의 모양으로 구별할 수 있다. 솔붓꽃의 뿌리는 각시붓꽃의 뿌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강인하다. 잎은 비스듬히 서며 칼 모양이고, 길이는 15㎝, 너비는 4㎝ 정도의 부채꼴이지만 개화 후 30㎝ 정도로 자란다....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앞산자락길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의 군락. 꽃무릇은 수선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중국, 일본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는 주로 일본에서 들여와 절에서 흔히 심고 산기슭이나 풀밭에서 군락을 이루고 자란다. 꽃이 피고 지는 모습이 현생의 고통에서 벗어나 열반의 경지에 오른 모습과 같다고 하여 피안화(彼岸華)라고도 한다....
-
2013년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군화로 지정된 진달래과의 낙엽 활엽 관목. 철쭉이 먹을 수 없는 데 비해 진달래는 먹을 수 있는 꽃이라 하여 참꽃이라고도 불린다. 달성군의 군화(郡花)는 지역을 대표하는 비슬산 참꽃이며, 밝은 내일을 향해 나아가는 달성 군민의 뜨거운 정열을 상징한다. 비슬산 정상부와 대견사 터 북쪽의 고원 지대에 대규모 군락을 형성한다. 비슬산 참꽃은 매년 5월 초·...
-
대구광역시 동구의 구화로 진달래과의 갈잎떨기나무. 진달래과의 갈잎떨기나무 철쭉은 척촉(躑躅)에서 유래했다. 척촉은 ‘머뭇거리다’를 의미한다. 이 말이 생긴 데는 꽃이 아주 아름다워 사람들이 발걸음을 머뭇머뭇했다는 설, 어린 양이 꽃을 엄마의 젖꼭지로 잘못 알고 가던 길을 멈췄다는 설, 꽃에 독성이 있어 양이 꽃만 봐도 가까이 가지 않고 머뭇거린다는 설 등이 있다. 철쭉은 인내심이...
풀
-
대구광역시에서 자생하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일본, 중국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한반도 북부인 함경북도와 평안북도에 주로 분포하는데, 특이하게 기후와 환경이 아예 다른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낙동강 주변에도 많이 분포하고 있다. 대구광역시에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과 달서구에 걸쳐 있는 달성습지에 ‘물여뀌 군락‘이 발견되고 있다. 달성습지의 물여뀌 군락은 물에 서식하기...
-
대구광역시에 자생하는 현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며 주로 대구광역시를 비롯하여 경상북도 산지에 분포하는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구와[국화]를 닮은 꼬리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구와꼬리풀보다 크다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실제로는 작은 편이고, 잎이 조금 큰 편이다. 가새잎꼬리풀이라고도 한다. 대구수목원에서 희귀식물 및 자료부족종으로 지정할 만큼 희귀한 종이다...
-
대구광역시에 서식하는 자칫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대구광역시 북구를 비롯한 우리나라 중부 이남과 일본에 분포한다. ‘덩굴꽃다지’라고도 한다....
-
대구광역시에 서식하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유럽, 미국, 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대구광역시를 비롯한 경상북도 안동시, 중부 지역 이북에 분포한다....
-
대구광역시 동구에서 서식하고 있는 붓꽃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불로동 고분군에는 산림청이 지정한 희귀식물 위기종인 애기자운이 솔붓꽃과 함께 살고 있다. 콩과의 ‘애기자운[Gueldenstaedtia verna (Georgi) Boriss]’은 ‘작은 자운’을 뜻한다. 자운(紫雲)은 꽃 색깔이 자줏빛이라서 붙인 이름이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서식하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살이해풀.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비롯한 강원도의 정선군, 충청북도의 단양시·제천시, 경상북도의 경주시·영천시·의성군·청송군, 제주도 등에 자생한다. 자생지·개체수는 전국적으로 비교적 풍부한 편이다....
-
대구광역시에 서식하는 사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우리나라와 일본에 분포하는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대구광역시를 비롯한 경상북도, 경상남도 창원시, 경기도 화성시, 전라남도 구례군 등 한반도 전역에서 분포한다....
-
대구광역시 동구에서 서식하고 있는 족도리풀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쥐방울덩굴과의 금오족도리풀은 경상남·북도 등 중부 이남의 제한된 지역에만 자생하는 종이며, 주로 자작나뭇과의 서어나무, 참나무과 종류 등으로 구성된 낙엽활엽수림의 생태계가 안정된 조건에서 서식한다. 금오족도리풀은 팔공산의 생태·지리적 특성을 잘 반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