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경북 지역에서 1895년부터 1960년까지 일어난 독립운동이나 6·25전쟁 관련 기념비. 대구 지역 기념비는 대구 출신 인물과 대구 지역에서 일어난 국채보상운동, 3·1운동, 학생운동, 6·25전쟁, 2·28민주운동 등을 기념하는 비가 다수를 이룬다. 행정구역별 기념비 수는 중구 9기, 달서구 8기, 남구·달성군 5기, 동구 4기, 북구·수성구 3기, 서구 2기 등의 순이다....
중구
-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 계성중학교에 있는 학교 교사. 계성학교 강당은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의 계성중학교에 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 계성중학교에 있는 교사. 계성학교 맥퍼슨관은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 계성중학교 안에 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 계성중학교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건립한 학교 교사. 계성학교아담스관은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 계성중학교 안에 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 계성중학교에 있는 교사. 계성학교핸더슨관은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 계성중학교 안에 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로에 있던 일제강점기 건립된 양조장. 고성양조장은 1937년 한국인 임씨가 건립한 건물이다. 1970년 개조하여 보생당약업사, 삼화인쇄기획으로 운영되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에 있던 일제강점기 대구공립상업학교 강당. 공무원연금관리공단 대구사무소 창고2(公務員年金管理公團 大邱事務所 倉庫二)[대구공립상업학교 강당(大邱公立商業學校講堂)]는 1924년 건립된 대구공립상업학교 강당이다. 붉은벽돌 조적조로 지어진 단층 건물이다....
-
대구광역시 중구 북성로에 있던 일제강점기 건립된 상점 병용 주택. 광명페인트상회 건물은 1920년대 일제의 경제수탈정책에 따라 대구역과 서문시장을 연결하는 도로변에 일용품을 도매하는 건축물을 조성할 때 건립된 상점병용주택이다. 상점병용주택은 상점과 주거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지상 2층 건물로 나눈 것과 앞뒤 공간을 분리하는 형태가 있다. 북성로에 건립된 상점병용주택은 지상 2층으로...
-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관사 건물. 교장 관사는 1930년경 일제가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건립한 관사 건물이다. 관사를 비롯한 사택 건물은 1920년대부터 도시 인구 증가에 따른 주택난 해소를 위하여 전국적으로 건립되었다. 대구 지역에는 1920년대 후반부터 삼덕동과 동인동, 대봉동 일대에 집단적으로 관사 건물이 건립되었으며, 1960년 이후 사회 변화에 따...
-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있었던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경상북도지사 관사. 구 경북도지사 관사(舊慶北道知事官舍)[경상북도지사 관사(慶尙北道知事官舍)]는 1920년에 건립된 목조 2층집이었다. 1997년 시민공원 조성을 위하여 철거하였다....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었던 목조의 모임지붕 형태의 경북여자고등학교 강당. 구 경북여자고등학교 강당(舊慶北女子高等學校講堂)[대구공립여자고등학교 강당(大邱公立女子高等學校 講堂)은 1927년 모임지붕 형태의 목조건물로 건립되었다. 1999년 경북여자고등학교 교사 증축으로 강당을 철거하였다....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었던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남산초등학교 본관. 구 남산초등학교 본관(舊南山初等學校本館)[대구남산정 공립보통학교 본관(大邱南山町公立普通學校本館)]은 1935년 일본이 건립하였다. 붉은벽돌을 쌓아 만든 2층 건물이다. 1987년 철거되고 3층 건물로 신축되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었던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남산초등학교 중관. 구 남산초등학교 중관(舊南山初等學校中館)[대구남산정 공립보통학교 중관(大邱南山町公立普通學校中館)]은 1936년 일본이 건립하였다. 붉은벽돌을 쌓아 만든 2층 건물이었다. 1987년 신축 계획에 의하여 철거되고 철근콘크리트조 3층 건물로 신축되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서문로에 있었던 일제강점기 때 건립된 대구경찰서. 1905년 일본은 을사조약을 체결한 이후 거류지의 보호와 식민지 전초기지로 대구경찰서, 통감부 산하기관인 대구이사청 등을 건축하였다. 구 대구경찰서는 1909년 일본이 만들었으며, 구조는 목조 2층의 일·양 절충형의 건물이다. 1929년까지 사용하였으나 경찰서를 신축하기 위하여 철거하였다....
-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동에 있었던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대구복심법원 건물. 구 대구백화점 별관은 1921년 대구복심법원으로 세워진 붉은벽돌조 3층 건물이다. 대구공소원이 있던 것을 철거하고 세웠다. 구 대구백화점 별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설계하고, 야시로쿠미[屋代組]에서 건축공사를 맡았다. 1975년까지 공공건물로 사용되었으며, 1986년부터 대구백화점 별관으로 사용되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건립 구 대구사범학교의 본관과 강당. 1923년 4월 1일 초등학교 교원 양성을 위하여 경상북도 공립사범학교를 대구에 설치하였고, 1929년 6월 1일 관립대구사범학교로 개교하였다. 1946년 10월 15일 대구사범대학으로 승격되었고, 1951년 9월 대구사범대학 병설 중학교, 1959년 5월 대구사범대학 부속 국민학교[현 경북대학교사범대학...
-
대구광역시 중구 삼덕동에 있었던 일제강점기 건립된 대구삼립정 공립보통학교 남관 건물. 구 대구삼덕초등학교 남관(舊大邱三德初等學校南館)[대구삼립정 공립보통학교 남관(大邱三笠町公立普通學校南館)]은 1942년 건립된 벽돌조적조의 2층 건물이다....
-
대구광역시 중구 삼덕동3가에 있었던, 대구삼립정 공립보통학교 본관 건물. 대구삼덕초등학교는 1938년 3월 12일 설립인가를 받아 1938년 4월 6일에 대구덕산공립심상소학교로 개교하여 1939년 8월에 본관, 1942년 12월에 남관을 건축하였다. 1941년에 대구삼립정 공립보통학교로, 1946년에 다시 대구삼덕국민학교로 개칭되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있었던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대구시장 관사. 구 대구시장 관사[대구부윤 관사]는 1923년 일제가 만든 단층의 목조건물이다. 광복 이후에도 대구시장의 관사로 사용되었으나, 1987년 철거되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태평로에 있던 대구역 역사. 구 대구역은 대구광역시 중구 태평로1가 1에 있는 철도 역사였다....
-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공립전문학교 건물. 구 대구의학전문학교 본관(舊大邱醫學專門學校 本館)은 1933년 일제가 대구 지역 의료인 양성을 위하여 지은 건물이다....
-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에 있었던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대구공립보통학교 본관. 구 대구초등학교 본관(舊大邱初等學校本館)[대구공립보통학교 본관(大邱公立普通學校本館)]은 1921년 일제가 지은 벽돌조 2층 건물이다....
-
대구광역시 중구 남일동에 있었던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금융조합 연합회 경북지부 대구지점. 구 대우증권(舊大宇證券)[금융조합 연합회 경북지부(金融組合聯合會慶北支部)]은 1925년 건립되었다. 금융조합 연합회 경북지부 대구지점으로 붉은벽돌의 지상 4층 지하 1층의 건물이다. 지방금융조합은 1908년 설립되어 발전하였다. 그러나 조합 및 조합원수의 부족 및 조합 간의 자금 조정 불능 등으...
-
대구광역시 중구 삼덕동2가에 있는 한국 근대 병원. 구 도립대구의원(舊道立大邱病院)은 1928년 세워진 한국 근대 병원이다. 현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병원 본관 건물이다. 2003년 1월 28일 사적 제443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
일제강점기 대구광역시 중구 북성로에 있었던 백화점. 구 미나카이 백화점[三中井]은 일본 상인들에 의하여 지어진 철근 콘크리트조 5층 건물이다. 잡화상을 운영하던 4명의 일본인[中江五郞平, 中村富次郞, 中村平四郞, 奧井和平]이 1905년 일용품을 공급할 목적으로 건립한 공동출자 회사이다. 1930년 후반 본점을 서울로 옮겨 전국 각지에 지점을 설치하고, 만주까지 상권을 확장하기도 하...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에 있었던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조선은행 대구지점. 구 서울신탁은행 대구지점(舊信託銀行大邱支店)은 1920년 일본인 나카무라 요시헤이[中村與資平]가 설계하고, 야시로쿠미[屋代組]에서 건축한 지상 2층의 벽돌조 건물이다. 일제는 1920년경 종전의 무단정치를 통한 수탈 방법에서 문화정치로 가장한 정책을 시행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에 따르는 경제적 호황이 대구까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있었던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동산성서학원 본관. 구 영남신학교 본관(舊嶺南神學校本館)[동산성서학원 본관(銅山聖書學阮本館)]은 1913년 아담스 선교사가 성경을 전문으로 공부하고자 하는 교인들을 위하여 만든 성경 학교로 알려져 있다. 구 영남신학교 본관은 동산의 가장 높은 곳에 건립되었고, 계산성당과 동일 축선상(軸線上)에 있었다. 성경학교로 이용되었으나 19...
-
대구광역시 중구 서문로에 있었던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한성은행 대구지점. 구 영남일보사(舊嶺南日報社)은 1920년 건립된 지상 1층의 건물이다. 당시 대구 금융의 중심적 역할을 하였다. 건물의 설계자는 일본인 나카무라 요시헤이[中村與資平]이고, 야시로쿠미[屋代組]에서 공사하였다....
-
대구광역시 중구 남일동에 있었던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조선신탁회사 대구지점. 구 한일은행 대구지점(舊韓一銀行大邱支店)은 1932년 건립된 르네상스풍의 지상 2층 건물이다. 1920년부터 일제는 종전의 무단정치에서 문화정치로 정책을 변경하였고, 제1차 세계대전에 따르는 경제적 호황이 대구까지 영향을 미쳤다. 그리하여 지방은행이나 금융조합이 잇달아 신설되고, 서울에 본점을 두고 은행 지...
-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학교 교사. 구대구상업학교본관(舊大邱商業學校本館)은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60-10번지에 있다....
-
대구광역시 중구 태평로2가에 있는 일제강점기 화물 운송을 위하여 건립한 건물. 구성운(九星運)은 1934년 3월 대구 지역의 물류 수송을 위하여 대구역 인근에 건립되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태평로에 있던 주거 건축물. 기무라 주택은 일본인 기무라[木村]가 1934년에 대구보천병원으로 지은 건물로 기록되어 있다. 연면적 329.07㎡에 일본식과 서양식을 절충한 양식으로 지은 지상 2층 건물이며, 이전 시기의 관사나 주거용 건물들과 달리 목조와 콘크리트조를 혼용하여 외관을 단순하게 처리하였다. 대문이 현관과 연결되어 있고, 동쪽과 북쪽 정면에는 넓은 일본...
-
일제강점기 대구에 있었던 목조 연립주택. 나가야[장옥(長屋)]는 하나의 지붕을 두고 칸을 막아서 여러 가구가 거주할 수 있도록 길게 만든 집, 즉 연립주택(聯立住宅)을 뜻하는 일본어이다. 나가야(장옥)는 대구뿐만 아니라 인천과 진해 등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는 대구남산초등학교의 학교 교사. 남산초등학교강당(南山初等學敎講堂)은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122의 대구남산초등학교 내에 있다....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경상감영공원 안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아. 선화당(宣化堂)은 조선시대 각 도에 설치되어 관찰사가 사무를 보던 감영(監營)의 중심 건물이다. 선화당은 ‘임금의 덕을 베풂으로써 백성을 교화하는 건물’임을 뜻한다. 현존하는 선화당은 대구의 경상감영 선화당을 비롯하여 강원도 원주시의 강원감영 선화당, 충청남도 공주시의 충청감영 선화당 등이 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로에 있는 일제강점기 건립된 구 교남 YMCA의 회관. 대구 구 교남 YMCA 회관(大邱舊嶠南YMCA會館)은 1914년 미국 북장로교 대구선교지회의 선교사 블레어(H. E. Blair)가 건립한 건물이다. 1915년 YMCA의 회원들을 중심으로 교남기독교청년회가 조직되어 기독교민족운동의 거점 공간으로 사용되었으며, 3·1운동 당시 주요 지도자들의 화합의 공간이었...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근대 병원. 대구 동산병원은 1898년 존슨(W.B Johnson) 선교사가 남성정교회[현 대구제일교회] 구내의 초가에 세운 대구 최초의 서양 의학 병원인 제중원(濟中院)으로 발족하였다. 1931년 현재 자리에 선교사 플레처(Archibald G. Fletcher)[1882~1970]가 중국인 기술자를 동원하여 대구 동산병원 구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4가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학교 교사. 대구 동인초등학교 강당(大邱 東仁初等學校 講堂)은 중구 동인동4가 388의 대구동인초등학교 내에 있다....
-
대구광역시 중구 삼덕동3가에 있는 대구삼덕초등학교의 구 관사. 대구 삼덕초등학교 구 관사(大邱三德初等學校舊官舍)는 1938년 4월 6일 개교한 대구덕산공립심상소학교의 교장 관사로 1939년 건립되었다. 대구덕산공립심상소학교는 대구삼덕초등학교의 전신이다....
-
개항기 대한제국 순종 황제가 대구 방문 기념으로 내린 은사금과 지역 인사의 기부금으로 대구 공중의 이용 장소로 지은 건물. 대구 은사관은 1909년 1월 대한제국 순종 황제가 남순(南巡)할 때 대구를 방문하여 대한협회 대구지회에 하사한 2,000원을 기초로 지역 인사의 기부를 받아 건립한 건물이었다. 대구 은사관은 대한협회 대구지회의 회관으로 사용되다 대한협회 대구지회가 해산된 뒤...
-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건립된 학교 관사. 대구공립상업학교 관사(大邱公立商業學校 官舍)는 1935년 일제가 교사들을 위하여 세운 지상 1층의 일·양 절충형 목조주택이다....
-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동에 있던 일제강점기의 대구공소원 건물. 대구공소원(大邱控訴院)[건축(建築)]은 1910년 탁지부 건축소에서 설계하여 지은 지상 2층의 건물이다.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동에 있었으나 현재 철거되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건립된 은행 건물. 대구금융조합(大邱金融組合)[건물]은 1925년 일제가 건립한 2층 벽돌조 양식의 비대칭형 건물이다. 건축가는 일본인[封塚八次]이고, 시공사는 야시로쿠미[屋代組]로 알려져 있다. 2014년 그레이스 실버 영화관으로 개조되어 운영되었으나 2021년 폐관하였다....
-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있던 일제강점기 부립도서관. 대구부립도서관(大邱府立圖書館)은 1924년 건립한 도서관 건물이다. 일본은 1919년 한일병합 이후 식민 통치 방법을 강압적 지배와 문화, 교육을 통한 점진적 회유책을 병행하였다. 당시 도서관은 일본의 정치, 문화, 사상을 선전하고 교화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1920년 대구 지역에는 일본인 1만 명, 한국인 3만 명...
-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1가에 있던 일제강점기 대구이사청 건물. 대구일본이사청(大邱日本理事聽)은 대구 내 일본인 거류지 보호와 식민지 전초기지 확보를 위하여 1909년 탁지부 건축소의 설계로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1가에 세워진 지상 2층 건물이다. 1905년 을사늑약 아래 통감부와 관련 기구들이 설치되었는데, 이때 영사관을 이사청(理事廳)으로 바꾸어 일제 침탈 작업을 본격화하였다....
-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에 있는 학교 교사. 대구제일중학교 강당은 1932년에 건립하였다....
-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있던 일제 강점기에 만들어진 대구지방전매국 관사. 대구지방전매국 관사는 1924년 4월에 건축되어 1980년까지 관사로 사용되었다. 일제강점기 대구 지역에 세워진 전매국은 대구부 동인동의 조선총독부 도지부전매과 대구출장소와 동아연초주식회사 대구공장을 인수하여 1921년 7월 1일부터 궐련[卷煙] 제조를 시작하였다. 그 후 1922년에 동인동 청사가 협소한...
-
대구광역시 중구 남일동에 있는 화교 학교 교사. 모문금(慕文錦)은 1920년대 조선의 2대 화교건축회사를 운영할 정도로 대구 지역에서 성공한 화교 출신 인물이었다. 모문금은 1940년대 화교 학교 설립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모금 운동을 벌이고 기부금을 받아 1943년 화상공회 건물에서 개교하였다. 화상공회 건물은 현 종로호텔 주차장에 있었다. 당시 교실은 3칸으로 1칸은 교무실...
-
대구광역시 중구 남일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서병국 주택. 대구화교협회(大邱華僑協會)는 대구의 부자로 알려진 서병국이 1929년 중국 건축가 모문금(慕文錦)에게 설계와 시공을 맡겨 지은 서양식 주택이다....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있던 교육기관 부속시설. 동산성서학원 여자기숙사는 1933년에 붉은벽돌을 주요 구조부로 하여 지어진 고딕(Gothic)식 건물이다. 1913년 지금의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230번지에 설립된 동산성서학원은 원래 아담스(Adams) 선교사의 주택을 기숙사로 사용하여 오다가 증가하는 학생 수를 감당하기에는 기존의 선교사 주택이 좁아 1933년에 동산성서학원...
-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철교. 동인지하차도 철교(東仁地下車道鐵橋)는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콘크리트 라멘구조의 지하차도 철교이다. 경부선 대구역에서 동대구역 구간의 복선 일반교로 설계되었다. 왕복 6차선으로 확장되어 현재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과 북구 칠성동의 교통을 원할하게 하는 지하차도로 이용되고 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북성로1가에 있는 일제강점기 건립된 상점. 동화부동산중개인사무소는 대구광역시 중구 북성로1가 86-1번지에 있다. 대구역지하상가와 인접하여 있으며, 약 100m 떨어진 곳에 대구역관광안내소가 있다....
-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던 대구부성의 북쪽에 세워졌던 망루. 망경루(望京樓)는 1870년 경상관찰사 겸 대구도호부사 김세호(金世鎬)[1806~1884]가 대구부성을 보수하면서 북쪽에 세운 망루이다. 원래 대구부성은 조선 후기 영조 때 민응수(閔應洙)[1684~1750]가 외적의 침입을 막고자 쌓았는데 이후 성이 낡고 훼손되어도 방치되던 것을 김세호가 수리한 것이다. 당시의 공사 내용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있던 선교사 맥파랜드의 집. 맥파랜드 주택은 미국인 선교사가 설계한 맥파랜드(E. F. Mcfarland)의 주택이다. 맥파랜드 주택은 선교사들이 중국인 조적공과 일본인 목수들을 동원하여 지은 지상 2층, 지하 1층의 집이었다. 건물의 기초에 사용한 돌은 1906년 대구 성곽을 철거한 성곽돌을 주워 사용하였고, 창호 철물 및 양변기, 세면기 등은 미국에서...
-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로에 있는 일제강점기 건립 의원 건물. 모동의원은 1932년 한국인이 건립한 것으로 알려진 붉은벽돌조 2층 건물이다....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던 일제강점기 건립 주택. 모문금 주택은 1937년 건립되었으며, 설계자와 시공자가 중국인 모문금으로 알려져 있다. 대구교구장 주교 드망즈(Demange)에게 의뢰받아 모문금은 1901년부터 대구 내 종교 건축물을 건축하였다. 모문금은 종교 계통의 건물뿐만 아니라 서병국 주택을 건축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있던 일제강점기의 건물. 무덕회관은 1923년에 경북무덕회가 경상도민의 성금으로 건립한 지상 1층의 목조 건물이다. 경북무덕회는 일본인들이 주축으로 만든 재단법인이었으며, 무덕회관은 일본의 사상과 문화를 직간접으로 선전·교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설립되었다. 해방 후에도 무술장 및 유도장으로 활용되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삼덕동에 있던 박정희 전 대통령의 살림집. 박정희 대통령 살림집은 ‘박근혜 대통령 생가터’로도 불린다. 박정희는 1950년 12월 12일 육영수와 결혼 후 중구 삼덕동에 살림집을 차렸다. 전 대통령 박근혜도 삼덕동에서 태어났으며, 유년 시절을 박정희 대통령 살림집에서 보내다가 1960년 서울로 올라갔다. 박정희 대통령 살림집은 철거되어 가게가 들어서 있다....
-
대구광역시 중구 시장북로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정자. 북후정(北堠亭)은 『대구읍지(大丘邑誌)』에는 읍북루(揖北樓)라고 하고 “부(府)의 서쪽 3리(里)[약 1.19㎞]에 있다”라고 하였다. 『대구부읍지(大丘府邑誌)』에서도 읍북루라 하고 ”부(府)의 서쪽 3리에 있다. 일명 북후정(北堠亭)이다”라고 하였다. 두 읍지의 기록을 따르면 북후정은 초기에 ‘읍북루’로 불리었던 것을 알...
-
대구광역시 북성로 일대에 있는 상점과 주택을 겸하는 근대 목조건물. 상점 병용 주택(商店倂用住宅)은 일제강점기 대구의 일본 상인들이 중구 북성로에 건립한 건물이다. 상점병용주택은 1층에 상점을 두고, 2층에 살림집을 구성한 형태와 앞쪽에 점포를 두고 뒤편으로 살림집을 배치한 두 가지 유형이 있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남일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주택. 서병직 주택은 일제강점기 대구의 거부인 서병직의 주택이다. 중국인 건축가 모문금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37년 건립된 벽돌조 2층 건물로 일제강점기 상류층의 주거 환경에 대한 자료와 일·양(日·洋) 절충식 주거 구조를 알 수 있다....
-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에 있는 개항기 국채보상운동을 주도한 서상돈의 주택. 서상돈 고택(徐相燉古宅)은 개항기 국채보상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 서상돈[1851~1913]의 주택이다....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있는 선교사 어드먼이 살았던 집. 선교사 어드먼 주택은 1906~1910년경 미국인 선교사 월터 C. 어드먼(W. C. Erdman)의 주택으로 미국인 선교사들이 설계하고 건립하였다. 선교사들이 거주하였으며, 1969년부터는 신명여자중학교에서 생활관, 연혁관[1972년] 등으로 사용하다 1988년에 철거하였다....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있는 선교사 블레어가 살던 개항기 주택. 선교사블레어주택은 선교사(宣敎師) 블레어(H. E. Blair), 라이스(R. F. Rice)가 거주한 집으로 1910년경 건립되었다. 1989년 6월 15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있는 선교사 스윗즈가 살던 개항기 주택. 선교사스윗즈주택은 선교사(宣敎師) 스윗즈(M. M. Swizer), 핸드슨(H. H. Henderson), 아키베드 캠벨(Archibad Campbel) 등이 거주한 집이다. 1906~1910년경 지상 2층, 지하 1층으로 건립되었다. 1989년 6월 15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있는 1910년경 건립된 선교사 챔니스가 살던 집. 선교사챔니스주택(宣敎師챔니스住宅)은 선교사 라이너(R. O. Reiner), 챔니스(O. V. Chamness), 소우텔(Sawtel) 등이 거주한 집이다. 1910년경 벽돌조의 한·양 절충식으로 건립되었다. 1989년 6월 15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5호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건립된 의료시설. 성요셉의료원은 1931년 대구교구 초대 교구장 안세화[Florian Demange] 주교가 성직자, 수녀들을 위하여 만든 의료시설이다. 내부에 진료실과 입원실이 있었다. 1993년 성요셉의료원은 폐원하고 현재는 ‘성소자(聖召者)를 위한 방’으로 사용되고 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문화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의원 건물. 손 내과의원은 대구광역시 중구 문화동 13-1번지에 있다. 남동쪽으로 약 200m 거리에 2·28기념중앙공원이 있다....
-
대구광역시 중구 삼덕동3가에 있는 일제강점기 은행원 사택. 은행원 사택(銀行員 舍宅)[현 장석수 주택]은 1930년경 은행 종사자들을 위하여 일제가 건립한 목조의 일·양 절충식 주택이다....
-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로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백화점. 이비시야 백화점[현 LG상사대구지점]은 1932년 일본인이 건립한 5층의 철근콘크리트조 백화점이다. 대구에 세워진 최초 백화점이자, 당시 최고층의 근대적 건물이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2가에 있는 독립운동가 이상정의 생가. 이상정(李相定)[1897~1947]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이자 군인으로,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아호(雅號)는 청남(晴南), 산은(汕隱), 연호(然晧)이다. 이상정은 1921년부터 1923년까지 평안도 정주의 오산학교에서 근무하면서 항일투쟁을 전개하다가 만주로 망명하였다. 이상정 생가(李相定生家)는 ‘이상정 고택’...
-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에 있는 독립운동가 이상화의 주택. 이상화 고택(李相和古宅)은 항일 민족시인이자 독립운동가 이상화((李相和)[1901~1943]가 1939년부터 1943년까지 거주하였던 집이다. 1910년대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
대구광역시 중구 종로2가에 있는 이원만이 거주하던 집. 이원만 주택의 거주자였던 이원만(李源萬)[1904~1994]의 본관은 여주(驪州)이고 호는 오운(五雲)이다. 코오롱그룹의 창업주이다....
-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에 있는 이일우가 살던 주택. 이일우 고택(李一雨 古宅)은 우현서루(友弦書樓)의 운영자인 소남(小南) 이일우(李一雨)[1870~1936]가 살던 주택이다. 이일우는 이상화(李相和)의 아버지 이시우(李時雨)의 친형으로, 이상화가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의고 이일우 고택에서 얹혀살았다고 전한다....
-
대구광역시 중구 삼덕동 일대에 있는 일제강점기 적산가옥. 일제시대 관사(日帝時代 館舍)가 있는 삼덕동은 일제강점기에 식민통치 행정기관 직원들의 숙소였던 ‘관사’와 ‘사택’ 밀집 지역이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건립된 은행원 사택. 정재규 주택은 1930년경 동인동에 건립된 은행원들의 사택이다. 대구에는 1920년대 후반부터 삼덕동과 동인동, 대봉동 일대에 학교, 관청, 은행 등의 종사자들을 위한 관사와 사택이 집단적으로 건립되었다. 정재규 주택도 같은 시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
대구광역시 중구 북성로1가에 있던 일제강점기 공중목욕탕. 조일탕(朝日湯)[경북자동차매매사업소(慶北自動車賣買事業所)]은 1924년 일본인 스미가와[隅川]가 설계한 대구 최초의 공중목욕탕이다. 북성로에 있어 주변 상인과 주민들이 많이 이용하였다고 전한다. 광복 후에도 목욕탕으로 사용되다가 1965년경 주변 일대가 상업 지역으로 변모함에 따라 건물도 상품 창고로 용도가 바뀌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있던 선교사 존슨이 살았던 집. 존슨(Woodbridge O. Johnson) 주택은 1898년 대구에서 처음으로 서양 의술로 선교활동을 한 미국 북장로교 의사 존슨의 주택이다. 존슨 주택에 사용한 목재는 대구로부터 25마일[약 40㎞] 떨어진 지방에서 벌목하여 낙동강의 수운으로 대구 근교까지 운반한 다음 인부들이 공사장까지 운반하였고, 문은 미국 시카고에...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었던 교남학교 건물. 천지기업사 건물은 중구 남산동에 있었다. 본래 서만달이 학원 설립을 위하여 건축한 ㅡ자형의 목조 단층 건물이었다. 1924년에 교남학교가 이전하면서 ㅁ자형으로 증개축되었다. 1953년부터 천지기업사 사옥으로 사용되었으나, 2002년에 철거되었다....
-
대구광역시 중구 태평로3가에 있는 지하차도 철교. 태평지하차도 철교(太平地下車道鐵橋)는 경부선 대구역에서 지천역 구간의 복선 일반교로 1941년 건립되었다. 대구광역시 중구 태평로3가에 있다. 2019년 11월 29일 태평지하차도를 6차로로 확장 개통하였다....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건립한 은행 건물. 한국산업은행대구지점(韓國産業銀行大邱支店)은 1931년 조선식산은행 대구지점으로 세워졌다....
-
대구광역시 중구 인교동에 있는 이병철이 거주하던 집. 호암 이병철 고택(湖巖李秉喆古宅)은 삼성그룹의 설립자 및 초대 회장인 이병철(李秉喆)[1910~1987]이 결혼 후 대구로 분가하여 가족과 함께 거주하던 집이다. 이병철의 삼남인 이건희(李健煕)[1942~2020] 전 삼성그룹 회장도 호암 이병철 고택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이병철 고택’, ‘이건희 출생지’라고도 부른다....
동구
-
1952년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에 있는 공산국민학교가 졸업생에게 발급한 졸업증서. 1952년 3월 25일 제27회 공산국민학교 졸업식에서 공산국민학교[지금 공산초등학교] 졸업생에게 수여하기 위해 제작 및 발급된 졸업장이다....
-
1987년도에 촬영된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의 전경 사진. 「공산동 마을 전경 사진」은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의 모습을 기록하기 위해 촬영되었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동구청이 소장하고 있는 필라코리아 2002 세계우표전시회 기념우표. 2002년 8월 2일부터 8월 11일까지 서울특별시에 있는 코엑스(COEX)에서 개최되었던 필라코리아 2002 세계우표전시회를 기념하여, 필라코리아가 16개 광역단체와 연계하여 각 지방 자치단체의 전통문화와 개성을 대표하는 유무형 문화재를 특별우표로 발간하였다. 그 과정에서 「내고향 대구 특별우표」...
-
1997년부터 2004년까지 발급된 대구광역시 동구를 지나가던 대구선 통일호 승차권. 「대구선 통일호 열차표」는 1997년부터 2004년까지 대구역에서 하양역 구간, 동대구역에서 하양역 구간, 경주역에서 금호역 구간을 이용하기 위해 발급되었다....
-
대구광역시 동구에서 1969년 2월 18일에 작성된 결혼식 축하금 및 축하선물에 관련된 기록물. 「부조기」는 1969년 2월 18일에 있었던 결혼식의 결혼식 축하금 및 축하선물 목록과 공여자를 기록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
1980년부터 1983년까지 대구광역시 동구 송정동에 있었던 절미회가 만든 회비 납부 현황이 적힌 기록물. 대구광역시 동구 송정동에 거주하던 주민들이 새마을운동 당시 송정동 마을 발전을 위해 기부금을 마련하는 과정을 기록하기 위해 「절미회 회비 모금 장부」를 제작되었다....
-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에 있는 1882년 건립된 대명14현을 기리는 재실. 1636년 병자호란 직후, 대구지역의 대표 유학자 14명은 숭정처사(崇禎處士)를 자처했다. 14명은 모두 ‘명(明)’ 자가 들어가는 호(號)와 시(詩)를 지었고, 단체로 팔공산 아래로 거처를 옮겨 살았다. 이들을 일러 ‘대명14현’이라 하며, ‘대명14현’을 추모하는 재실이 경현당이다. 「대명동동은록(大明...
-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에 있는 1926년 건립된 열부 곽만주 처 영양남씨의 정열비각. 곽만주 처 영양남씨 표열각은 곽만주 처 영양남씨 부인의 열부행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정열비각이다. 남씨 부인은 남편의 병에 자신의 살을 베어 약을 달여 낫게 하였고, 그 뒤 남편이 죽자 일 년 상을 치른 후 9일 동안 곡기를 끊음으로써 남편의 뒤를 따랐다. 남편 곽만주 역시 부모의 병에 손가락을 잘...
-
1917년부터 2008년까지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었던 대구선 철도 역사. 구 대구선 동촌역사는 대구광역시 동구 입석동 구 대구선 동촌공원 내에 있다....
-
1932년부터 2008년까지 대구광역시 동구 반야월에 있었던 대구선 역사. 대구 구 반야월역사는 대구광역시 동구 신기동에서 동쪽으로 11㎞ 이전해 대구광역시 동구 신서동에 세워져 있다....
-
개항기에 건립된 대구광역시 동구 대림동에 있었던 달성서씨 문중의 재실이자 주택. 1995년 『대구시사』에서는 대구 대림동 서진영 주택으로, 2006년 『문화유적분포지도』에서는 대구 대림동 서종호 주택으로 적혀 있다....
-
1903년 건립된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에 있는 정자. 「향산기(香山記)」에 의하면 구로정이라는 명칭은 중국 당나라의 시인 백낙천(白樂天)의 ‘향산 구로회’에 연원을 둔 것이라고 한다. 「구로좌목(九老座目)」에 나타나는 9인의 명단은 최운경(崔雲慶)·채정식(蔡正植)·도윤곤(都允坤)·곽종태(郭鐘泰)·최완술(崔完述)·채준도(蔡準道)·곽치일(郭致一)·서우곤(徐宇坤)·서영곤(徐永坤)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에 있는 1912년에 건립된 경주최씨 광정공파 문중의 재사. 대구 도동 구회당은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에 있는 경주최씨 광정공파 문중의 재사이다. 대구 도동 구회당이 있는 도동 지역은 경운재·문창공 영당·광정공파 1, 2세 제단 등 경주최씨 광정공파 종중의 유적들이 산재해 있는 곳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에 있는 1932년 건립된 일직손씨 문중의 재실. 대구 도동 추보재는 일직손씨 도동 입향조인 손홍주(孫弘冑)[1637~1716]를 추모하는 재실이자, 문중 선영 수호 재실이다. 손홍주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이자 조선 중·후기 대구광역시를 대표하는 유학자인 모당 손처눌의 손자이다. 대구지역 일직손씨 문중은 처음에는 지금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과 황금동에 살았으나,...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에 있는 1927년 중건된 중건된 인천채씨 문중의 재실. 대구 둔산동 첨송재(瞻松齋)는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월촌에 세거한 인천채씨 필선공파(弼善公派) 후손들이 선대 조상의 묘소 아래에 세운 재실이다. 대구 둔산동 첨송재가 자리한 곳은 송대산(松臺山) 자락인데, ‘첨송재’라는 이름은 여기에 기인한 것으로 송대산을 바라본다는 의미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옥산전씨 문중 재실. 대구 둔산동 추모재는 옥산전씨의 시조인 고려 신호위대장군 전영령(全永齡), 고려 예조판서 문평공(文平公) 전백영(全伯英)의 후손이자, 통훈대부 기장 현감 전침(全琛)의 현손인 만봉(晩峰) 전시림(全始琳)을 추모하기 위해 세워졌다....
-
대구광역시 동구 백안동에 있는 1926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김해김씨 문중의 재실. 대구 백안동 영안재는 대구광역시 동구 백안동 세거 문중인 김해김씨 문중의 김재열, 김봉국, 김선우 등이 건립한 문중 재실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에 있는 1939년 건립된 경주최씨 문중 종당.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팔공산IC에서 팔공산 방면으로 2.5㎞쯤 가면 좌측으로 봉무교회가 보이고 신호등이 있는 삼거리가 나타난다. 이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강동마을 방향으로 350m쯤 가면 우측에 독암서당이 있다. 이곳에서 100m 쯤 더 가서 다시 왼쪽 길로 100m 쯤 더 가면 우측에 대구 봉무동 경지당이 있...
-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동굴진지. 현재 대한민국에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동굴 진지가 있는 곳으로는 주로 제주도, 목포시,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등 섬이나 해안 지역이다. 현재 제주특별자치도에는 일본이 만든 전쟁 유적이 700여 개소나 있다. 대표적인 곳이 송악산 해안 동굴진지로 약 20개의 인공동굴이 해안을 따라 규칙적으로 만들어져 있다. 그 외 유달...
-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에 있는 1922년 건립된 문화유씨 문중의 재사. 유시번(柳時藩)[1569~1640]은 연정(蓮亭) 유요신(柳堯臣)의 아들로 대구 해안현 삼태동에서 태어났다. 괴헌 곽재겸·낙재 서사원·한강 정구·모당 손처눌 등에게 수학을 하여 학문으로 이름이 났으며,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의 청호서원에 제향되었다. 유시번은 달성십현 중 한 명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에 있는 1888년 건립된 것으로 알여진 성산여씨 문중의 종당. 대구 부동 친목당은 1888년 개항기 대구 출신 유학자인 여사백이 강학하던 곳이다. 대구 부동 친목당은 현재 부동지역 성산여씨 문중의 종당으로 사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눌암(訥菴) 여사백(呂師伯)은 자가 망여(望汝)이며, 지헌(止軒) 최효술(崔孝述)의 문인으로 문집인 『눌암집』이 있다....
-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1932년 건립된 경주이씨 문중에서 세운 재실. 대구 사복동 오우당은 1932년 경주이씨 문중에서 향토사회에 유덕을 남긴 다섯명의 종반(從班)을 추모하기 위해 1932년 후손들이 세운 후 문중에서 관리했다. 종반은 이은영(李殷榮), 이원영(李原榮), 이문영(李文榮), 이조영(李祚榮), 이환영(李煥榮)으로 특히 이원영은 호가 약중(藥中)으로 흉년에 사재를 기울...
-
대구광역시 동구 송정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축조된 경주이씨의 재실. 대구 송정동 원감재는 1917년에 건립된 후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1915년에 건립된 것으로 전해 졌으나 상량문에 “개국오백이십육년정사이월십구일계축사시수주상량(開國五百二十六年丁巳二月十九日癸丑巳時竪柱上樑)”을 근거로 하면, 대구 송정동 원감재는 1917년에 건립된 것으로 판단된다. 대구 송정동 원감재는 의정부 참찬(...
-
대구광역시 동구 송정동에 위치한 1905년 세워진 개인 주택. 팔공산로에서 송정동 방면으로 향햐는 팔공산로 23길을 따라 800m 정도 지나면 송정동 마을에 이르는데, 마을의 중앙부에서 북서편 산자락에 있다....
-
대구광역시 동구 숙천동에 있던 1919년 건립된 성주배씨 문중의 재실. 대구 숙천동 오산재는 안동 금척암(金拓庵)의 문인이었던 성주배씨(星州裵氏) 미헌(米軒) 배봉상(裵鳳祥)이 고종 황제가 승하했을 때 배일정신을 드높이며 슬피운 뜻을 기려 그 후손이 1919년에 건립하였다고 전한다. 미헌 배봉상[1862~1935]은 괴암공(槐庵公) 배상조(尙藻)의 9세손으로 대구광역시 동구 숙천...
-
대구광역시 동구 숙천동에 있었던 1900년대 건립된 달성서씨 문중의 재실. 대구 숙천동 원모재는 조선 후기 대구의 유학자인 서사선을 추모하기 위한 재실이다. 달성서씨 인물인 서사선은 조선 후기 대구의 유학자이다. 서사선은 자가 정보(精甫), 호가 동고(東皐)이다. 사촌형인 낙재 서사원과 한강 정구에게 수업을 받았으며,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유일(遺逸)로 예빈시참봉에 올랐다. 서사선...
-
대구광역시 동구 신용동 용진마을에 있는 노태우 전 대통령 생가. 대구 신용동 노태우 전대통령 생가가 있는 신용동과 용진마을은 원래 대구부 해서촌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일제가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신천동과 용진동을 합쳐서 신룡동으로 이름을 바꾸고 달성군 공산면[현재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 일대]에 편입되었다. 1963년에는 경상북도 경산군 안심면 신룡동, 1981년 대구직할시 동...
-
1921년 건립된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에 있는 개인주택. 대구광역시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고가(古家), 근대기에 건축된 주택이 별로 남아 있지 않다. 그래도 팔공산을 끼고 있는 대구광역시 동구 반야월, 안심, 숙천 지역에는 근래까지도 많이 남아 있었으나, 대구혁신도시가 개발되면서 대부분이 사라지고 없다. 비록 대구 용수동 구경회 주택이 현재 남아 있어 그 명맥을 이어가지만 대구...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에 1931년 건립된 평산신씨 문중 재실. 대구 평광동 모영재(慕影齋)는 1931년 고려 개국공신인 장절공(壯節公) 신숭겸(申崇謙) 장군의 유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재실로 매년 음력 9월 9일에는 평산(平山)신씨 문중에서 합동으로 향사를 지내오고 있다. 뒤편에는 1832년(순조 32) 후손 신정위가 신숭겸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신숭겸영각유허비(影閣遺墟碑)...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에 있는 이승휘를 추모하기 위해 1875년에 건립된 재실. 대구 평광동 추모재는 인천이씨 23세(世) 장사랑(將仕郎) 이승휘(李承輝)[1579~1639]를 추모하는 재실이다. 이승휘의 묘소 아래에 세워진 묘소 수호 재실이기도 한 대구 평광동 추모재는 1875년(고종 12)에 후손들이 건립했다. 이승휘는 어려서부터 효행과 학행이 있어 지역 사림으로부터 추중을 받...
-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교육회관. 대구 효목동 조양회관은 서상일(徐相日)[1887~1962]이 주도해 대구 지역 독립운동가들과 뜻을 모아 만들었다. 대구구락부회원들이 건축비를 부담하고, 서상일이 약 1,652㎡[500평]의 땅을 제공하였다. 서상일은 중국 만주 지역 등에서 활동하다 대구로 돌아와 동아일보 지국을 운영하던 독립운동가였다. 서상일은 대구지역 청년에게...
-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에 1865년 건립된 경주최씨 문중 서당. 독암서당은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강동·독암의 경주최씨 문중에서 설립한 ‘문중서당(門中書堂)’이자 ‘동계서당(洞契書堂)’이다. 봉촌(鳳村) 최상룡(崔象龍)이 쓴 「독암재기」에 의하면 이 지역 경주최씨 문중 12가(家)가 모여 독서당 건립을 도모했다고 한다. ‘독암’이라는 명칭은 서당에서 서남쪽으로 약 500~600m...
-
1910년 건립된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옻골마을 내 위치한 정자. 대구해안초등학교에서 옻골로를 따라 북쪽 계곡으로 1.2km 정도를 가면 경주최씨 집성촌인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옻골마을에 이른다. 동계정은 이 옻골마을의 중앙부에서 동편 산자락에 붙어 있다....
-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에 위치한 1948년 건립된 행주은씨 문중의 정자. 동산정은 은희도가 생전에 자신의 부모 묘소 곁에 건립한 정자이다. 동산이라는 이름은 정자 동쪽에 있는 산을 동산(東山)이라 칭한데 연유한다. 「동산정기」에 의하면 동산정은 1948년 무자년에 건립되었다.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은 행주은씨의 오랜 세거지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에 있는 1914년 건립된 효자 배석유의 정려각. 배석유 효사각은 조선 후기 철종 조의 인물인 배석유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정려각이다. 본관이 달성인 배석유는 사후에 효자 정려와 함께 영릉 참봉에도 증직이 되었다....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에 있는 김선룡을 추모하기 위해 1938년 건립된 경주김씨 문중의 재실.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시장 입구에서 불로천을 따라 나 있는 도로를 동쪽으로 약 6㎞쯤 가면 평광동 표지석과 함께 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에서 우측 길을 따라 1㎞쯤 가서 마을회관을 지나면 작은 네거리가 나온다. 여기에서 비석들이 많이 서 있는 가운데 길로 불로천을 따라 1.5㎞쯤 더 가면 길...
-
대구광역시 동구 송정동에 있는 1934년 건립된 경주이씨 당정 문중의 정자. 서벽정은 양소재(養素齋) 이규상(李圭祥)[1875~1934]이 1934년에 지은 정자이다. 이규상의 호를 따 양소정사(養素精舍)로도 불린다. 이규상은 농은(農隱) 이산명(李山明) 후손으로 이산명은 조선 후기 의정부 참찬을 지냈으며 경주이씨 당정 입향조이기도 하다. 서벽정이 있는 마을은 예로부터 당정(棠亭)...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에 있는 개항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경주최씨 문중의 재실. 영모재는 경주최씨 대암공파 종중의 파조인 대암(臺巖) 최동집[1586~1661]의 부인인 공인(恭人) 인천채씨, 아들[생원 최위남(崔衛南)], 손자[선교랑(宣敎郞) 최경함(崔慶涵)]까지 3세(世)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해 건립한 재실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 덕곡동에 있는 1894년 건립된 효자 우원도의 정려각. 우원도 효행각은 효자 우원도(禹元度)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효자 정려각이다. 우원도는 사헌부 감찰을 역임한 인물로 어버이가 병으로 위독할 때 변을 맛보며 간병하였고, 손가락을 잘라 피를 올리는 등의 효행을 실천했다. 어버이의 시묘살이를 할 때는 호랑이가 항상 그 곁에서 호위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러...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에 있는 1917년 건립한 최동률을 추모하기 위한 재실. 경주최씨 문중은 다천(茶川) 최동률(崔東嵂)[1585~1642]의 묘소 아래에 재실 첨모재를 지어 묘소를 보호하고자 했다. 최동률은 대구 출신 임란 의병장 태동(台洞) 최계(崔誡)의 첫째 아들로 조선 중·후기 대구의 유학자이자 경주최씨 지묘동 입향조이다. 현재는 같은 경내에 제단인 ‘첨모단(瞻慕壇)’이...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에 있는 1896년 건립된 단양우씨 예안공파 문중 재실. 첨백당은 평광동 단양우씨 문중의 재실이다. 첨백당은 조선 후기의 선비 용강(龍岡) 우명식(佑命植)의 절의와 그의 증손자인 우효중(禹孝重)의 효행을 기리고 추모하는 재실이다. 첨백당은 선조인 우명식의 묘소가 있는 ‘백밭골[백전곡(栢田谷)]을 우러러보는 집’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서구
-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에 있던 대구남명보통학교로 설립된 학교 건물. 구 대성초등학교는 1933년에 지어진 지상 2층 건물이다. 경북 봉화군 금정광산의 금맥을 발견한 소남 김태원이 미취학 아동을 위하여 만들었다. 김태원은 대구의학전문학교 건축비와 교남학교, 일신학원의 운영비를 지원하고, 대구남명학교와 월배항공학교 등을 설립하기도 하였다. 구 대성초등학교 건물은 1933년부터 1998...
-
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에 1909년 건립된 개신교 사회복지 기관이자 의료선교 기관. 대구애락보건병원(大邱愛樂保健病院)은 선교사들에 의하여 설립된 한센병 치료 및 요양기관이다. 처음에는 대구나환자병원, 대구나병원으로 불리다가 1924년부터 애락원(愛樂園)으로 불렸다....
-
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에 있는 대구애락보건병원에 소속된 강당과 식당. 대구애락보건병원(大邱愛樂保健病院)은 여수 애양원과 부산 상애원에 이어 한국에서 세 번째 설립된 기독교 한센병 환자 치료 기관이다. 1909년 내한하여 1910년 대구 동산병원 원장이 된 미국 북장로의 선교사 플레처(Archibald G. Fletcher)[1882~1970]가 대구 부임 직후 남성정에 초가집을 마...
남구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 있는 계명대학교 대명캠퍼스의 본관. 계명대학교 대명캠퍼스 대명본관은 1955년 조자용(趙子庸)[1926~2000]의 설계로 건립되었다. 벽돌조적조로 만들어진 이 건물은 지상 2층, 지하 1층이다. 건물 외관은 조지언 콜로니얼 스타일(Georgian Colonial Style)으로 건립되었다....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 있는 영남이공대학교 도서관. 영남이공대학교 중앙도서관은 1968년 정경운의 설계로 건축되었다. 영남이공대학교 중앙도서관은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로 현대식 6층 건물이다. 현재까지 원형이 잘 남아 있으며, 대구 지역 현대건축의 역사를 보여 주는 건물로 평가되고 있다....
북구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에 있는 경북대학교의 본관. 경북대학교 본관은 1956년 대구 지역 현대 건축의 1세대인 조자용[1926~2000]의 설계로 건축되었다. 경북대학교 본관은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빅토리아 양식의 4층 건물이며, 남동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에 있는 옛 경상북도 청사. 경상북도청 청사는 일제강점기에 현재 대구광역시 중구 포청동에 있는 경상감영공원의 선화당 건물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1966년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으로 이전하였다. 1965년 건립된 경상북도청 청사 건물은 대구 건축 1세대로 알려진 정경운의 설계로 만들어졌다. 2016년까지 경상북도청의 청사로 사용되었으며, 그 후 대구광역시청 별관...
-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중건된 전통 가옥. 능성세가(綾城世家)는 지금의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에 대를 이어 살던 능성구씨 집안의 종가 건물이다. 무태[서변동] 지역에 자리 잡은 능성구씨의 입향조는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다가 서변동에 정착한 계암(溪巖) 구회신(具懷愼)[1564~1634]이다. 구회신은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절의를 지킨 두문...
-
대구광역시 북구 도남동에 있는 개항기 인천이씨 쌍명재공파 국동파 문중의 서사. 대구 도남동 유화당(大邱 道南洞 有華堂)은 1,600년대 중후반 대구광역시 북구 도남동에 세거지를 마련한 인천 이씨 쌍명재공파(雙明齋公派) 국동파(菊洞派) 문중의 서사(書舍)이다. 현재 건물은 1864년(고종 1) 건립되었다. 1916년 대대적인 보수가 있었으며, 별칭으로 ‘국동서실(菊洞書室)’이라고 불...
-
개항기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에 백운 이화상이 건립한 정자. 백운정(白雲亭)은 이화상(李華祥)[1842~1915]이 만년에 자신이 거처하던 집 곁에 건립한 정자이다. 이화상의 자(字)는 재중(載重)이고 호(號)는 백운(白雲), 본관은 인천(仁川)이다. 백운정은 이화상의 호에서 따온 명칭이다....
-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에 이창희가 세운 누각. 원장루(遠長樓)는 이창희(李昌熙)[1898~1969]가 건립하였다. 이창희의 자는 도윤(道允), 호는 확재(確齋), 본관은 인천(仁川)이다. 아버지는 채국정(採菊亭)에서 강학한 진사 이병운(李柄運)이고, 할아버지는 일신정(日新亭)을 건립한 수헌(守軒) 이억상(李億祥)이다. 이창희는 아버지로부터 가학(家學)을 전수받았으며, 지재(止齋)...
-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에 있는 개항기에 건립된 주택. 이인술 주택은 1905년 지강(芝崗) 이승연(李承淵)[1861~1933]이 건립하였다. 이인술 주택은 정침과 대문채로 구성되어 있다. 집 외곽에는 담을 둘러 영역을 구분하였다....
-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에 있는 개항기 유학자 이억상이 건립한 정자. 일신정(日新亭)은 수헌(守軒) 이억상(李億祥)[1835~1905]이 만년에 건립한 정자이다. ‘일신(日新)’은 『대학(大學)』에 나오는 탕(湯) 임금의 반명(盤銘)에서 이름 붙인 것이다. 이억상은 어릴 때 종숙(從叔) 만은공(晩隱公)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며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추구하였다. 임재(臨齋) 서찬규(徐贊奎...
-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에 있는 제일모직의 여자 기숙사 건물. 제일모직여자기숙사(第一毛織女子寄宿舍)는 1954년 9월 제일모직공업주식회사가 설립되면서 건축되었다. 창업주 이병철이 대구 칠성동에 부지를 마련하여 공장과 기숙사를 함께 만들었다. 3채로 시작된 기숙사 건물은 1980년대 6채로 늘었다. 제일모직여자기숙사 내에는 미용실, 욕실, 세탁실, 다리미실, 도서실, 휴게실 등이 구비...
수성구
-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모동에 있던 일제강점기 철도관사. 고모역 철도관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모역에 있는 목조 단층의 연립형 관사이다. 일제강점기에 철도관사는 3등에서 8등까지 구분하였는데, 고모역 철도관사는 8등 관사 규모로 연립형 3동이 있었다. 현재는 철거되어 남아 있지 않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에 있는 1939년 12월 조성된 일본인 미즈사키 린타로의 묘. 미즈사키 린타로 묘[水崎林太郞墓]는 수성못을 축조하고 관리하던 일본인 미즈사키 린타로[1868~1939]의 묘소이다. 수성못 축조에는 조선인 대지주 4명과 미즈사키 린타로가 수리조합을 만드는 등 주도적 기여를 하였다. 미즈사키 린타로는 일본 기후현 출신으로 1915년경 개척 농민으로 대구에 왔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 상동에 있는 개항기 진씨 문중 재실. 야수정은 1900년경 진씨(秦氏) 문중의 재실로 건립된 건물이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모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철교. 우매천교는 경부선 철도 동대구역에서 고모역 구간의 복선 일반교로 1942년 건립되었다. 2003년 PC빔 콘크리트조로 개조되었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 사월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철교. 욱수천교는 1937년 11월 만들어진 T빔 콘크리트조 교량이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일본인의 과수원 주택. 일본인 과수원 주택(日本人果樹園住宅)은 1935년경 건립되었다. 과수원을 경영하던 일본인에 의하여 건립되었으며 8·15광복 후 경산의 안두홍이 인수하여 경영하였다. 목조 2층집으로 남향으로 배치되었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에 있는 양달화의 학덕을 추모하여 건립한 서당형 건물. 학산재(鶴山齋)는 지촌(池村) 양달화(楊達和)[1694~1756]의 학덕을 추모하여 건립한 서당형 정자이다. 양달화의 본관은 중화(中和)이며, 자는 태삼(泰三), 호는 지촌(池村)이다, 문장과 덕행으로 향리에서 명망이 높았다....
달성군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부리에 있는 개항기 전통 가옥. 곽종심 가옥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현풍중앙로16길 35-6[부리 326]에 있다. 현풍읍현풍 파출소에서 현풍교를 건너 우측의 현풍중앙로16길로 약 150m 들어가면 달성군 현풍읍 부 1리 노인정이 있다. 곽종심 가옥은 부 1리 노인정 뒤편 골목길 안에 있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에 있는 개항기에 세운 정자. 광거당(廣居堂)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인흥3길 16[본리리 410]에 있다.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에 위치한 남평 문씨 본리 세거지(南平文氏本里世居地) 내에 있다. 달성군화원 중학교 정문을 지나는 성암로를 따라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의 화원 자연 휴양림 방향으로 천내천을 따라 약1.2㎞ 가면 인흥길의 왼편에 남평 문씨...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에 있는 개항기에 세운 재실. 낙교재(洛橋齋)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교항6길 31-3[교항리 1473]에 있다. 달성군청 앞 달성군청 교차로에서 국도 5호선[비슬로]을 따라 대구 방향으로 약 2㎞ 직진하다 좌회전하여 약 800m 들어가면 대구 금계 초등학교가 있다. 대구 금계 초등학교 맞은편 아파트 단지 뒤편에 낙교재가 위치한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전통 가옥. 박종대 가옥(朴鍾大家屋)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육신사길 42-5[묘리 693]에 있다. 달성군 하빈 보건소를 관통하는 하빈로를 따라 성주 방향으로 약 2.5㎞ 가다가 하빈 삼거리에서 하빈교를 건너 약 2.3㎞ 들어가면 달성군 하빈면 묘리 묘골 마을이 자리잡고 있다. 박종대 가옥은 묘골 마을 뒤편에 있으며, 앞집은...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반송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전통 가옥. 배명근 가옥(裵命根家屋)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반송1길 53[반송리 301]에 있다. 달성군 옥포읍반송 초등학교에서 기계곡천을 가로지르는 반송교를 건넌 후 다시 반송 3교를 건너서 들어가면 새마 마을이 자리잡고 있다. 배명근 가옥은 달성군 옥포읍 반송리 새마 마을 가운데에 있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기세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에 세운 정자. 석재준(石載俊)[1866∼1945]의 본관은 충주(忠州), 자는 경수(慶秀), 호는 소계(小溪)이다. 석재준은 지지당(知止堂) 석치규(石致奎)의 아들로 태어나 가학(家學)을 닦고, 15세 때는 만경와(晩競窩) 윤태로(尹泰老)에게 위기지학(爲己之學)을 배웠으나 과거의 혼탁함을 보고 단념하였다. 1908년 장릉 참봉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상리에 있는 개항기에 세운 누정. 원호루(遠湖樓)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현풍동로 92[상리 632]에 있다. 달성군 현풍읍현풍 초등학교에서 우측 직선 거리로 약 200m 떨어져 있는 현풍 상리 체육 공원의 정상부에 있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양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돌다리. 유가만세교(瑜伽萬歲橋) 옆에 세워진 척진교 비(陟眞橋碑)에 따르면, 원래는 홍예(虹霓 )[무지개] 모양의 목교(木橋)로서 '척진교(陟眞橋)'라는 이름으로 1747년(영조 23)에 건립되었다고 한다. 현 석교(石橋) 옆에 세워진 만세교 비(萬歲橋碑)에 새겨진 기록에 따르면, 1916년에 일본인 석공 구수노키[楠木](Kusu...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내리에 있는 개항기에 다시 세운 정자. 이노정(二老亭)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내리길 19-17[내리 443]에 있다. 달성군 구지면 대구 국가 산업 단지의 서쪽 끝 낙동강 변의 속칭 ‘성담’이라 불리는 산성 아래에 자리잡고 있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에 있는 남평 문씨 가문의 서고. 남평 문씨가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인흥 마을에 본격적으로 세거지를 형성한 것은 인산재(仁山齋) 문경호(文敬鎬)[1812~1874]때였다. 현재의 인수문고는 문경호의 손자와 증손자인 후은(後隱) 문봉성(文鳳成)[1854-1923]과 수봉(壽峯) 문영박(文永樸)[1880~1930] 부자가 세운 광거당(廣居堂)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있는 개항기 정은덕의 공덕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 비문에 의하면 정은덕(鄭殷德)[1805~?]은 매번 흉년이 들 때면 곡식을 내어 사람들을 구제해 주었고, 아들 정노윤(鄭魯潤), 손자 정기근(鄭冀根)도 같은 일을 행하였다고 한다. 이에 1879년(고종 16) 조암면민이 정은덕 3대의 공덕을 기리기 위하여 정은덕 유혜 불망비(鄭殷德遺惠不忘碑)를...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인흥 서원에 있는 조선 후기 추적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신도비.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으로 민부 상서(民部尙書), 예문관 제학(提學)을 지냈고, 『명심보감(明心寶鑑)』을 편찬하였다고 하는 추계 추씨(秋溪秋氏)의 시조 추적(秋適)의 신도비이다. 추적은 생몰년은 미상이며, 호는 노당(露堂)이다. 충렬왕 초 과거에 급제하여 안동서기(安東書記), 직사...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상리 현풍 초등학교 내에 있는 학생들에게 충성 맹세를 강요한 일제 강점기의 비. 황국 신민 서사비는 1930년대 후반 중 일 전쟁이 시작되면서 민족 말살 정책의 하나로 내선 일체·황국 신민화 등을 강요하면서 일본 제국주의가 암송을 강요한 황국 신민 서사를 새긴 비이다. 황국 신민 서사는 조선 총독부 학무국이 교학(敎學) 진작(振作)과 국민 정신 함양을 도모...